취업·창업 돕고 대학 등록금까지… 지자체들 이주여성 지원 다양

입력 2016-03-15 22:41
지방자치단체들이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지원사업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전북 전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취업과 창업을 희망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밑반찬 창업대비과정 교육’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지원센터는 15명을 선정해 다음 달 8일까지 반찬 만드는 방법, 현장에서 요구하는 메뉴 짜기 등을 60시간 교육할 예정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결혼이주여성들에게 현장 적합형 교육을 제공해 취업의지를 높이고 실제 창업이나 일자리와 연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도 결혼이주여성들의 맞춤형 무료 취·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다음 달부터 11월까지 운영한다. 산모관리사, 다국어 상담원,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관광통역안내사, 봉제보조원 양성과정 등 8개 프로그램을 마련해 187명에게 취업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인천시 강화군은 이주여성들이 친정 가족들과 편하게 통화할 수 있도록 국제통화료를 일부 지원키로 했다. 오는 30일까지 100가구를 선정해 집 전화나 휴대전화에서 간단한 등록만으로 이용할 수 있는 3만원 상당의 희망카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7가구에게는 친정부모를 초청할 수 있는 항공료 등의 경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대학 진학을 돕는다. 방송통신대(27명)나 대구한의대 다문화복지한국어학과(36명)에 입학할 경우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는 한편, 9개 취업프로그램(112명)을 제공할 예정이다.

충북 영동군은 올해 12월까지 모국에 물건을 보내는 결혼이주여성에게 최대 5만원까지 택배비를 지원한다. 경남 진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결혼이주여성 23명을 지역아동센터·복지시설에 원어민강사로 파견해 어린이나 시민들의 외국어 학습을 돕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