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다문화인구 100만 육박하는데도 배타성은 여전

입력 2016-03-15 17:30
정부가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을 처음으로 수립해 시행한 때는 2006년이다. ‘다문화’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한국사회에 등장한 것이다. 그로부터 10년이 흘렀다. 다문화 인구는 지난해 기준 81만명을 넘어섰다. 내국인과 결혼했지만 한국 국적을 아직 취득하지 못한 ‘결혼이민자’, 내국인과 결혼해 국적을 취득한 ‘혼인귀화자’, 이주노동자 중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이 되면 다문화 인구는 100만명을 돌파하게 된다. 그만큼 다문화사회화(化)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다문화 수용성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이 같은 사실은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실시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를 보면 여실히 드러난다. 성인의 수용성 지수는 53.95점(100점 만점), 청소년은 67.63점이다. 2011년 조사에 비해 다소 나아졌지만 국제적 조사인 ‘세계 가치관 조사(WVS)’ 중 다문화 관련 항목과 비교하면 우리의 수용성은 미국·유럽 국가들에 비해 떨어진다. 구체적인 항목을 보면 ‘외국인 노동자와 이민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31.8%에 달했다. 미국(13.7%) 호주(10.6%) 스웨덴(3.5%)보다 훨씬 높았다. 2010∼2014년 실시된 6차 WVS의 ‘다른 인종에 대한 수용성’ 항목에서도 한국은 59개국 중 51위였다.

‘상상의 공동체’ 저자인 베네딕트 앤더슨 미국 코넬대 명예교수는 지난해 내한해 “한국도 이제 단일민족 신화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글로벌 시대에 단일민족을 고집하는 폐쇄적 태도는 이제 낡은 유물일 뿐이다. 다문화를 배척하는 행위는 국가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자신과 피부색이나 출신지가 다른 구성원이나 문화를 동등하게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다문화를 배려가 아닌 주류로 인정해 새로운 변화의 동력으로 만들어가야 한다. 정부의 정책 초점도 이런 쪽에 맞춰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