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사진) 외교부 장관이 “6자회담 틀 속에서 한·미·중 3자 대화도 멀지 않은 장래에 가동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한 주변국과의 ‘소(小)다자’ 협력 틀이 가시화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윤 장관은 14일 서울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재외공관장회의 개회사에서 “동북아 지역의 역학관계로 비춰볼 때 사안에 따른 3자 외교는 매우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기존 한·미·일, 한·중·일 3자 협력을 활성화할 것”이라고도 했다.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지난 8일 “한반도 핵 문제를 대화 테이블로 가지고 올 수만 있다면 3자, 4자는 물론 5자 접촉에도 우리는 개방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때문에 북한을 뺀 비핵화 협상을 꺼리던 중국이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윤 장관은 왕 외교부장의 발언을 염두에 둔 듯 “(발언을)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채택 당시 중국의 역할을 평가하며 “지난 3년간 축적된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힘입은 바 크다”고 했다. 한·중 관계 전반과 관련해선 “특정 사안이나 지정학적 요인으로 어려움에 처할 수도 있다”면서 “그러나 한반도의 새 미래를 열어가는 데 전략적 자산이 되도록 꾸준히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윤 장관은 “북핵·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총력외교를 펼쳐야 할 것”이라고 공관장들에게 올해 외교 목표를 주문했다. 오준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초대석에 참석, “북한이 실전 핵 능력에 가까워졌다고 봐야 한다”며 “동북아 안보 질서에 대한 도전이자 국제적 핵 비확산 체제에 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윤병세 “머잖아 韓·美·中 3자 대화 가동”
입력 2016-03-14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