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한국 땅’ 해외 홍보 적극 나선다… 경북도, ‘사이버전략센터’ 운영

입력 2016-03-14 19:35
경북도가 독도문제를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응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다양한 대책마련에 나섰다. 해국이 핀 독도 전경.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일본의 파상적인 독도 도발에 맞서 올해 해외홍보와 독도교육체계를 개선하는 등 장기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도는 해외 독도홍보 강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쌍방향 홍보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하고 ‘독도 사이버전략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우선 해외주재 공관·재외 교민단체와 손잡고 독도 올바로 알리기에 주력한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달 31개국 재외문화원장 회의에서 독도홍보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앞으로 관광공사 해외지사 31개소와 재미한국학교협의회(NAKS) 학교 1000여개 등과도 긴밀한 협력체계를 갖춘다.

보다 많은 외국인이 독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국내 체류 외국인 오피니언 리더 500여명을 선발해 독도탐방기회를 부여하고 세계 15개국 60여명의 사진작가를 초청해 ‘독도수중 세계사진촬영대회’도 개최한다.

독도교육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대입 수학능력시험의 독도문제 출제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 출제빈도를 높이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대입 수학능력시험 독도문제 출제빈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난 1월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교육부 등에 협조 요청을 했다.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을 건립해 대국민 독도 이론교육과 초·중·고생들의 독도 체험교육도 전면 수정하기로 했다.

오는 10월 울릉군 북면 석포에 문을 열게 되는 독도의용수비대기념관은 한국전쟁 시기 일본의 침탈로부터 독도를 지켜낸 생생한 역사의 현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독도박물관도 리모델링해 올 12월에 재 개관할 계획이다.

독도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각급학교 및 교육계와 긴밀하게 협조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우리나라 유일의 영토박물관인 독도박물관 리모델링사업은 독도 영토주권을 확인하는 자료 전시뿐만 아니라 역사적, 지리적, 법적 체계를 이해하기 쉽도록 독도 체험공간으로 재구성한다.

2017년 4월 모나코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구’(IHO) 회의에서는 세계해도에 ‘동해’가 표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학술대회도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다.

신순식 경북도 독도정책관은 “독도문제를 감정적인 대응에서 탈피,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론적 체계를 갖추고 대응한다는 대원칙을 세웠다”며 “올해를 그 원년으로 삼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