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2003년 2월 18일)가 발생한지 13년 만에 추모사업 등을 이어갈 공익재단을 만들게 됐다고 14일 밝혔다.
대구시와 4개 유족·피해자 단체는 국민안전처의 승인에 따라 이달 중으로 공익법인 성격의 ‘2·18안전문화재단’ 법인설립 등기를 마치고 사무조직을 구성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재단 임원진은 이사 11명과 감사 2명 등 모두 13명으로 구성되며 피해자·유족 단체 관계자들이 골고루 포함됐다. 이사장은 김태일 영남대학교 교수(정치외교학과)가 맡았다.
재단은 사고 후 모금된 국민성금 670억원 중 희생자 유족과 부상자들에게 지급하고 남은 109억원으로 운영된다. 앞으로 희생자 추모사업, 장학·안전복지사업, 안전 관련 기술·연구·학술 지원사업 등 각종 공익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대구시와 유족·피해자 단체들은 지난해 2월 재단 설립에 합의했지만 법인 설립 주체를 놓고 이견을 보여 같은 해 9월 허가신청을 냈다. 국민안전처의 허가 검토도 반년 정도 걸렸다.
4개 유족·피해자 단체는 그동안 갈등으로 따로 추모행사를 열다가 2014년부터 공동으로 행사를 열었다. 또 지난해 말 대구 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지하2층에 사고 당시 현장을 보존한 ‘기억의 공간’ 추모벽을 설치하기도 했다.
대구=글·사진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 지하철 참사 공익재단 출범
입력 2016-03-14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