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상대적으로 많은 고용을 창출하는 미래지향적인 대표 서비스산업이다. 지난 3년간 우리가 거둔 성과를 돌이켜보면 2014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래관광객은 1420만명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특히 홍보 마케팅 강화, 비자제도 개선 등을 통해 중국인 관광객이 전년 대비 41.6% 증가한 612만명을 기록했다. 아쉽게도 2015년에는 외래관광객 수 1550만명 달성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던 중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발생으로 큰 위기를 맞았다. 메르스같이 예측 불가능하고 통제가 어려운 질병의 문제는 관광산업에 있어선 고질적인 것이다. 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과 조류독감(AI), 최근 지카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유행 질병 확산은 발생 지역의 관광산업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
이런 경우 정부의 대응력은 늘 논의의 핵심이 된다. 지난해 메르스 사태로 인한 관광객 급감에 대한 우리나라 정부의 대응은 긴밀하고 효과적이었다. 관광업계 지원을 위한 관광기금 투입과 같은 과감한 재정정책 도입, 방한시장 회복을 위한 관광교류 협력 확대, 출입국 간소화 조치 및 단체관광 비자 수수료 면제, 비자 유효기간 연장 같은 정부의 전방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책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신속하고 정확했다. 결과적으로 9월부터 방한객 수가 회복되기 시작했고, 4분기에는 분기별 최대의 방한객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관광산업의 현주소는 그리 밝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지난해 관광수지 적자는 8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관광수입 금액은 151억 달러인 반면 내국인의 일반여행 지급 금액은 212억 달러다. 관광수지 적자액 61억 달러는 2014년에 비해 3.5배 늘어난 수치다. 더욱이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 일본 등 주변 경쟁국과의 경쟁 심화로 관광산업의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이제 관광산업의 방향을 새롭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외래관광객의 수가 아닌 지출 확대와 이를 통한 관광수지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또한 외래관광객이 만족하는 것은 자기들에게 초점을 맞춘 인프라의 인위적 세팅보다 내국인들의 생활 범주 내에서의 체험에 더욱 공감하고 진정성을 느끼기 때문에 국내 관광 활성화에 보다 방점을 찍어야 한다.
정부도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7년까지 국내 관광시장 30조원을 목표로 한 정책 제시라든지 관광주간을 통한 범국민적 여행 분위기 조성, 휴가 분산 및 대체휴일제와 연계한 관광 여건 개선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런 정책들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관광객들이 서울, 제주, 부산으로 과잉 집중되는 현상을 해소해야 한다. 열쇠는 지역의 교통, 숙박, 쇼핑 등 관광 인프라 확충이라고 하겠다. 선택과 집중, 그리고 지역 간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 정책적 노력을 적극 기울여야 하겠다. 일본 아베 정권이 정책적으로 책정한 245억엔(2687억원)이라는 예산의 상당 부분이 관광 수용태세 정비와 지역관광 활성화에 집중되고 있는 의도 또한 결국은 외래관광객 수용태세 확충을 위한 국내 관광 인프라 확충이 아니겠는가.
관광산업은 다른 산업과 융합해 청년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제공해줄 수 있는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만성적인 관광수지 적자를 개선할 수 있는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광정책을 기대해본다.
윤세목 경기대 관광대학 학장
[기고-윤세목] 한국관광 질적 성장 필요해
입력 2016-03-14 17: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