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의당, 야권연대 입장 조속히 확정하라

입력 2016-03-13 17:59
20대 총선이 불과 한 달 앞으로 다가왔음에도 후보구도가 안갯속인 선거구가 적지 않다. 선거구 획정과 공천 작업이 크게 늦어진 데다 야권연대 여부에 대한 최종 결론이 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당에서 야권연대 내홍으로 분당까지 거론되는 것은 예상 밖의 일이다. 이런 ‘깜깜이 선거’를 일찍이 본 적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

야권연대에 대한 시각은 상반될 수 있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주도하는 국민의당이 ‘낡은 정치 청산’을 내걸고 독립을 선언했으면 혼자 힘으로 당당하게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논리는 명분상 옳다. 반면 야권분열에 따른 새누리당의 어부지리를 속수무책으로 방치해선 안 된다는 논리도 영 잘못됐다고 보기 어렵다. 수도권에서의 야권 참패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막상 선거에서 국민이 어느 쪽 손을 들어줄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야권연대에 대한 최종 결론을 가급적 빨리 내려야 한다. 그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13일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야권연대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더 이상 좌고우면할 여유가 없다. 전열을 재정비해 앞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의 야권통합 제안을 줄곧 비판해온 그의 정치적 입장을 감안해 볼 때 이제 돌아올 수 없는 다리를 건넜다고 본다. 안 공동대표는 사퇴 의사를 밝힌 김한길 상임선대위원장 후임을 재선임함으로써 제 갈 길을 재촉할 게 거의 확실해졌다. 당무를 거부하고 있는 천정배 공동대표와 김 상임선대위원장은 하루빨리 자신의 거취를 표명해야 할 입장이다.

천 공동대표는 탈당 가능성을 일축하면서도 야권연대에 대해서는 미련을 버리지 않고 있다. 하지만 연대 여부는 늦어도 이번 주 안에 결론을 내야 한다. 2012년 19대 총선 때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선거 한 달 전에 연대 방식에 합의했었다. 후보 등록이 24∼25일로 다가왔기 때문에 우물쭈물할 시간이 없다. 후보등록 후 일부 선거구에서 독자적으로 후보단일화가 추진될 경우 ‘후보 매수’와 같은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런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라도 국민의당과 더민주 지도부는 하루빨리 연대 여부에 대한 입장을 말끔히 정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