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안동·예천 신 도청시대가 개막됐다.
경북도는 10일 오후 신청사 앞 광장에서 1만여 명의 국내외 축하객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신 도청시대의 서막을 여는 ‘경상북도 신청사 개청식’을 개최했다.
1314년 고려 충숙왕 원년 경상도를 개도한지 702년, 1896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경상북도를 개도한 이래 120년, 1966년 대구 산격동으로 청사를 이사한지 50년 만에 새로운 터전으로 옮긴 것이다.
1981년 대구시가 분리된 이후 도청 소재지와 관할구역의 불일치에 따른 끊임없는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김관용 경북지사의 결단이 7년간의 고된 준비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본 것이다.
이날 행사는 표지석 제막, 기념식수, 개청식, 축하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본관 동편 화단에 설치된 표지석은 폭 3.3m, 높이 2.7m의 문경산 목화석에 ‘경상북도청’이란 글씨가 새겨져 눈길을 끌었다.
또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을 간다’고 알려진 주목을 기념식수목으로 선정, 천년대계의 꿈이 담긴 신 도청시대의 의미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념식수에 사용된 흙은 전국 16개 시·도와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흙을 모은 것으로 국민 대통합과 도민화합의 의미를 담았다.
본 행사인 개청식은 경상북도 신청사 건립의 역사적인 상징성과 미래비전을 담은 ‘경북비전 영상’ 상영과 김관용 지사 개청사,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 환영사, 도립국악단 축하공연 순으로 이어졌다. 주요 내빈들이 300만 도민의 희망을 담은 풍선 1만2000개를 함께 날리는 희망 퍼포먼스로 피날레를 장식했다.
김관용 지사는 “도청이전은 도민들의 뜨거운 열망과 결집된 에너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역사적인 쾌거”라며 “도민 자존회복과 대통합의 전기가 마련된 만큼 오로지 도민들만 바라보면서 새로운 천년을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멋’과 ‘경북의 얼’이 담긴 경북도청 신청사는 건축학을 전공한 유엔세계관광기구 ‘탈렙 리파이’ 사무총장으로부터 ‘That’s Korea!’(저것이 한국이다)라는 극찬을 받는 등 전통과 현대를 절묘하게 조화시킨 공공청사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신청사는 지난해 동안 누적 관람객 7만6262명을 기록했고 올해도 하루 800∼10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어 경북북부지역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청 안동·예천시대 활짝… 새로운 천년·새로운 도약 시동
입력 2016-03-1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