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이 방향 전환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결혼이민자 초기 정착’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자녀 지원’에 무게를 두기로 했다. 다문화 2세들이 취업과 군입대 문제에 맞닥뜨릴 만큼 성장했지만 우리 사회에 녹아드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제12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를 열고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 종합정책을 심의, 의결했다. 정부는 다문화 자녀를 영·유아기, 학령기, 청년기로 나눠 ‘맞춤형 지원’을 한다.
먼저 취업 일선에 있는 청년기 자녀에 대한 지원으로 ‘이중언어 인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기로 했다. 상당수 다문화 2세가 외국 출신 부모의 언어와 한국어에 능통하다는 점에 착안했다. 정부는 2개 이상의 언어에 능통한 인재를 차세대 무역 마케팅 전문가로 양성할 계획이다.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해외사무소 등에 다문화 청년을 인턴으로 채용할 방침이다.
군에 입대하는 다문화 청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군에서 차별받지 않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다문화 장병 복무 개선방안 연구를 통해 각 군의 병영생활규정을 보완할 계획이다. 2014년 기준 다문화 장병은 약 400명이다. 정부는 2022년 이후 다문화 장병 4600여명이 복무할 것으로 본다.
해외에서 살다가 중도에 입국하는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지원도 확대된다. 이들이 공교육에 적응하도록 돕는 ‘예비학교’를 100곳에서 110곳으로 확충키로 했다. 중도입국·외국인 학생이 다니는 일반학교를 방문해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는 ‘찾아가는 예비학교’ 프로그램도 시범 운영한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15∼24세 중도입국 자녀의 32.9%는 일을 하지도 학교에 다니지도 않는 니트(NEET) 상태다. 정부는 이들의 취업을 위해 ‘내-일을 잡아라’ 프로그램을 올해 새롭게 만들어 6곳에서 실시할 예정이다.
학령기 자녀를 위해서는 ‘多재다능프로그램’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81곳에서 운영해 가족관계 개선과 리더십·사회성 개발을 돕기로 했다. 영·유아기 때부터 학업 격차가 본격화되는 점을 고려해 ‘다문화 유치원’도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까지 5개 시·도에서 30곳이 시범 운영되고 있는데 올해는 12개 시·도 60곳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아울러 여가부와 교육부가 제각각 개최해 온 ‘이중언어 말하기 대회’를 교육부로 일원화하는 등 유사·중복 사업 조정을 계속할 방침이다.
권기석 이도경 기자 keys@kmib.co.kr
다문화 자녀 성장별 ‘3단계’ 맞춤 지원한다
입력 2016-03-09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