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휴대전화는 국제전화가 안 된다. 인터넷도 외부와 차단돼 있다. 중국 접경지대에서 중국산 휴대전화로 통화하다 걸리면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진다. 주민을 통제하기 위해 휴대전화 인터넷 등 정보통신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국제앰네스티는 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통제된 사회, 단절된 삶: 북한 내 휴대전화 사용 및 외부 세계 정보 제한 실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300만명이 넘는다. 하지만 국제전화나 월드와이드웹(www) 접속은 엄격히 제한돼 있다. 북한 내 사이트와 이메일 접속만 가능한 ‘폐쇄형 인터넷’에만 접근할 수 있다.
외부와 통신이 단절된 탓에 탈북가족을 둔 주민들은 북·중 접경지대에서 브로커에게 거액의 수수료를 내고 중국 통신망에 접속된 ‘중국 손전화’를 사용한다. 통화는 국가안전보위부의 감청을 피하기 위해 실명을 언급하지 않고 짧게 끝내곤 한다. 적발되면 정치범수용소나 구금시설로 보내진다. 이를 피하려면 뇌물을 줘야 한다. 아놀드 팡 앰네스티 조사관은 “극심한 인권 침해를 감추려는 북한 당국의 핵심 수단은 통신에 대한 절대적 통제”라며 “북한 주민은 외부 정보에 접근할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훈 기자 zorba@kmib.co.kr
“北, 통신 감시 강화… 통화하다 걸리면 정치범수용소행”
입력 2016-03-09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