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회사에 다니는 박모(51)씨는 7월까지만 해도 노숙인이었다. 부산에서 살다가 가정불화로 집을 나왔고 서울로 올라왔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노숙생활을 해야하는 처지가 됐다. 그러던 중 서울역에 있는 노숙인 지원시설인 다시서기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서울시의 노숙인 임시주거지원 사업을 소개받았다. 박씨는 시로부터 월세를 지원받아 8월부터 고시원에 입주할 수 있었고 이후 대형운전면허 취득과 취업상담을 통해 마침내 10월 택배회사에 취업했다.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노숙인 임시주거지원 사업이 노숙인 자활에 톡톡히 효과를 내고 있다. 이 사업은 거리 노숙인 상담기관이나 단체를 통해 노숙인 및 노숙위기계층에게 월 25만원가량의 월세를 최대 6개월간 지원하는 것이다.
시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거리 노숙인 516명에게 월세를 지원한 결과 83%인 430명이 주거지원이 끝난 후에도 거리로 나오지 않고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516명에 대한 지원기간은 평균 2.2개월, 지원예산은 총 4억9000만원이었다. 이들 중 192명은 취업해 사회 복귀에 성공했고 99명은 기초생활수급자로 지정됐다.
시는 이들에게 월세 외에도 다양한 지원을 했다. 주민등록이 말소돼 일상생활을 할 수 없었던 83명의 주민등록 복원을 지원했고 7명의 신용회복을 도왔다. 3명에게는 장애인 등록을 통해 장애인복지 서비스를 받도록 했다. 또 65명은 병원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했고 488명에게는 이불, 속옷 등 1인당 10만원의 생활용품을 지원했다.
시는 특히 노숙인의 자활을 위해 공공일자리를 제공하거나 노숙인일자리지원센터 등을 통해 기업체 일자리 연계, 자격증 취득 등을 지원하고 있다.
시는 2011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임시주거지원 사업 결과, 상당수 노숙인들이 노숙생활을 청산했다고 밝혔다. 주거지원 종료 후 주거 유지율은 2011년 60.2%(184명), 2012년 78.5%(350명), 2013년 77.3%(445명), 2014년 82.2%(425명)이었다.
시는 올해도 다시서기지원센터(서울역), 옹달샘(영등포), 디딤센터(서대문구) 등 상시 거리상담활동 추진기관 6곳을 통해 거리 노숙인 및 노숙위기계층 570명에게 임시주거지원을 할 계획이다.
남원준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노숙인 임시주거 지원사업은 단체생활 적응문제 등으로 시설입소가 어려운 노숙인들의 노숙생활 청산과 자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단기월세 지원, 노숙인 거리생활 청산 ‘특효’… 서울시 ‘다시서기 사업’ 효과
입력 2016-03-09 2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