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행평가 중심 생활기록부 부작용 경계해야

입력 2016-03-04 17:30
현행 초·중등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교육부 훈령)을 보면 평가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구분해 실시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이르면 올해 1학기부터 전국 초·중·고교가 지필평가 형식의 중간·기말고사 대신 수행평가만으로 교과 성적을 매길 수 있게 됐다. 교육부가 지침을 개정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지필평가는 선다형이나 서술형 문항을 통해 학생의 지식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답이 분명하다는 얘기이다. 반면 수행평가는 발표나 토론, 과제 제출 등으로 학습과정 전체를 평가한다. 학생의 복합적인 지적 능력을 테스트한다고 할 수 있다. 내년부터 적용되는 개정 교육과정은 교사의 지식 전달보다는 학생 중심의 토론·체험 등을 중시한다. 이런 점에서 창의력 교육에 더 적합한 수행평가를 늘리는 것은 올바른 방향이다.

문제는 부작용이다. 수행평가는 교사의 주관에 치우쳐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수행평가는 ‘엄마평가’라고도 불릴 만큼 학부모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에서는 현재도 수행평가 점수를 높이기 위한 그룹과외 등이 성행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수행평가 강화는 자칫 사교육 수요를 늘리는 폐단을 초래할 수 있다. 결국 이번 개정안의 조기 정착 여부는 공정성 확보 및 사교육 억제 방안 등 교육 당국의 후속 대책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