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평신도 지도자 2명을 꼽으라면 박광서 종교자유정책연구원(종자연) 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을 들 수 있다.
참여불교재가연대 상임대표를 역임한 박 대표는 ‘법보신문’이 2007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영향력 있는 재가불자’ 1위를 차지했다. 박 시장도 1994년 대한불교조계종 헌법을 만들고 봉은사 미래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불교계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14인’에 선정된 바 있다.
조계종 자정운동을 벌이던 박 대표가 개신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은 2005년부터다. 박 대표는 박 시장 등과 함께 종자연을 만들었으며, 기자회견 세미나 여론조사 민사소송 입법청원 헌법소원심판청구 진정 신고 등을 통해 한국교회를 종교편향 집단으로 몰았다.
종자연은 조계종 등 종단과 사찰로부터 최소 9500만원을 받아 대광고 강의석씨 소송을 도왔으며, 2010년 대법원에서 승소했다. 2011년엔 사랑의교회 건축반대를 위한 10만 감사청구 서명운동을 주도했다. 고려은단의 ‘Jesus loves you’ 광고판부터 서울광장에 설치된 성탄트리 십자가까지 사사건건 종교편향이라고 몰았다. 최근엔 기독 정치인의 낙천도 요구했다.
이처럼 박 대표가 종자연을 통해 한국사회에 유포시킨 ‘프레임’은 ‘종교편향과 차별’ 논리다. 그러나 이는 엄밀히 말해 군소종교가 거대 종교(불교 개신교 천주교)를 상대로 문제제기할 때나 사용할 수 있는 논리다. 국내 최대 종교인 불교가 상대종교를 공격할 때 이 같은 논리를 들이대는 것은 일종의 ‘약자 위장 전략’에 해당된다.
종교편향과 차별은 정부나 지자체가 특정종교에 예산·행정지원을 편향적으로 할 때 발생한다. 매년 180억원 이상의 혈세가 투입되는 템플스테이 사업, 일개 사찰명이 공공 시설명으로 된 봉은사역, 190억원의 국가재정이 투입된 조계종 본부가 종교편향·차별에 해당된다.
따라서 ‘기독교인으로서 선교사명에 생명을 건다는 각오로 최선을 다했다’(주대준 예비후보)는 발언은 종교편향이나 차별에 해당되지 않는다. 실체가 없는 논리에 불과하다.
그럼 종자연이 무소불위의 권력처럼 휘두르는 해괴한 종교편향·차별 논리는 어디에서 온 것일까. 그것은 박 대표의 말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통계적으로 국민의 신자분포와 권력분포는 다르다. 건국 초기부터 정부권력을 주도한 것은 미국 유학파였던 기독교인이었다. 불교는 국내 제1의 종교이지만 권력에선 그렇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불자들의 피해의식은 크다.”
백상현 종교부 기자 100sh@kmib.co.kr
[현장기자-백상현] 종자연의 해괴한 종교편향 논리와 실체
입력 2016-03-02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