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당국이 불법투자 논란 등으로 내홍을 겪었던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총회연금재단(이사장 전두호 목사)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연금재단이 세무조사를 받은 것은 1961년 재단 설립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한국교계를 얼룩지게 만들었던 연금재단의 불법 투자 의혹이 구체적으로 드러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일 연금재단 관계자에 따르면 종로세무서 직원들은 지난달 19일부터 수차례 서울 종로구 연금재단 사무실에 찾아와 투자 관련 자료를 받아갔다.
통상 세무조사가 5년치 기록을 토대로 이뤄진다는 점에 비춰보면 결산이 마무리되지 않은 지난해 자료를 제외하고 2010∼2014년 자료를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로서는 연금재단에 보낸 공문에서 2012∼2014년 투자 관련 자료를 요구했다. 이번 세무조사가 2012년 10월 이사장에 선임된 김정서 전 이사장 재임 당시의 불법투자 의혹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연금재단은 김 전 이사장 재임 직후인 2012년 1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대출브로커를 통해 약 2000억원을 고위험 상품에 투자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거센 비난을 받았고 급기야 지난해 10월엔 수급자들에게 연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등 파행을 겪었다.
한 교계 관계자는 “2000억원은 연금재단 기금의 57%에 달하는 금액으로 이번 세무조사도 불법 대출 과정에서의 비리 부분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시중보다 높은 대출금리와 수수료 등이 연금재단 이사나 투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들에게 흘러 들어갔을 것이라는 의혹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금재단 관계자는 “지금은 기초조사 단계고 다음주쯤 마무리 되는대로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금재단은 지난해 9월에도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한편 연금재단은 지난달 11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전두호 이사장을 비롯해 이사진을 새로 꾸려 엉킨 실타래를 풀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100회 총회 이후 연금재단 구 이사진이 사용한 돈의 용처가 드러났다. 구 이사진이 새로 구성된 이사회에 업무이관을 하면서 건넨 자료를 보면 구 이사진은 지난해 9월 24일부터 지난달 11일까지 재단 돈 4억565만원을 지출했다. 소송비용으로 1억6350만원을 썼는데 대부분 변호사에게 지급됐다. 또 재단 사무실을 점유하는 과정에서 고용한 용역직원들에게 3200만원을 지급했다. 김 전 이사장, 김광재 전 이사, 조준래 손석도 이사가 재단사무실을 방문할 때마다 ‘거마비’ 명목으로 지급한 돈도 약 1900만원이나 됐다. 예장통합 총회 관계자는 “현재 잠정 중단돼 있는 연금재단에 대한 외부 회계감사를 조속히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예장통합 연금재단 사상 첫 세무조사… 세무당국, 지난달 19일부터 관련 자료 받아가
입력 2016-03-02 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