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전공의는 2009년 123명을 모집한 후 2014년 24명, 2015년 34명, 2016년 31명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때문에 병원들에서는 비뇨기과가 사라질 날이 멀지 않았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주명수(사진) 회장은 “학생들은 편한 진료과 혹은 나가서 돈을 잘 벌수 있는 과를 지원하려고 한다. 학회도 전공의 총 정원제라는 극단적인 처방까지 도입하며 생존을 위해 노력했지만 도저히 개선될 여지가 보이지 않는 상태”라고 말했다. 주 회장은 “비뇨기과 전공의 수급 문제는 수술의 낮은 수가와 함께 비급여 항목의 급여 전환으로 개원가 수입이 줄었기 때문이다. 학회의 전공의 수급조절 시기도 늦었고, 상대적으로 타 비인기과에 대한 정부 지원은 없어 비뇨기과의 박탈감이 심하다”라고 호소했다.
전공의 수급과 관련 주 회장은 비뇨기화학회에서 7∼8년전 논의를 진행했지만, 의견이 다양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고 말했다. 5년 전에야 전공의수 기준을 ‘지도의 수-2명’에서 ‘지도의 수-3명’으로 변경했는데 시기가 늦었다는 것이다. 주 회장은 “지금은 학회가 비뇨기과 전공의를 50명으로 한정하는 토탈정원제까지 병원협회에 제시하는 최악의 상황이다. 이는 84개의 수련병원 중 대학병원에 최대 2명을 뽑을 수 있게 하고 다른 병원에서 1명씩을 뽑는다고 해도 40여개 수련병원이 전공의를 받지 못하는 방안”이라며 “학회는 의국이 감소하더라도 비뇨기과 생존을 위해 이러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문제는 비뇨기과 전공의 수급불균형이 지속될 경우 고난이도의 중증 비뇨기계 환자 진료를 담당할 비뇨기과 수련 병원들의 진료공백이다. 또한 교육을 담당하는 각 수련병원 비뇨기과교실의 존립도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주명수 회장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난이도가 높은 수술은 전공의가 없어 하기 힘들게 되면, 대형병원으로 전원하거나 차선의 치료를 할 수밖에 없을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그는 “빠른 고령화사회 진입으로 노인성 질환이 늘고 있다. 이 중 비뇨기과 전문의가 진료를 담당해야 할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배뇨장애 등의 진료 공백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비뇨기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고령 환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들의 진료를 담당할 젊은 비뇨기과 의료진이 없다면 결국 국민 건강에 재앙이 될 수 도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주 회장은 비뇨기과 전공의 지원율 향상을 위해 정부가 외과에 지원을 했던 것과 같이 모든 비뇨기과 수술·처치·검사 행위에 비뇨기과 전문의 30% 수가 가산이 필요하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또한 모든 임상 진료과 동의를 얻어 입법예고까지 했던 체외충격파쇄석기 설치 인력기준에 비뇨기과 전문의 단독 전속 정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주 회장은 요양병원 입원료 8개과 전문의 가산정책을 즉각 폐지하거나, 노인의료를 담당하는 비뇨기과를 입원 가산과에 추가하는 것도 정부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민규 기자
대한비뇨기과학회 주명수 회장, 전공의 수급 안되면 의료재앙 불보듯… 비뇨기과 진료에 30% 수가가산 시급
입력 2016-03-06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