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일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 중단 여부를 놓고 하루 종일 진통을 겪었다. 비상대책위원회와 원내지도부가 중단을 결정했지만 필리버스터에 참여했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쏟아졌기 때문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당초 오전 9시 필리버스터 중단을 알리는 ‘중대 발표’를 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기자회견은 시작 9분 전 돌연 취소됐다. 이 원내대표는 대신 “더민주는 의원총회를 통해 의견을 모아 자세한 입장을 발표하겠다”는 내용의 성명을 문자메시지로 발표했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 본회의장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부 의원이 (필리버스터 중단의 명분이 없다는)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의원총회를 통해 결정이 뒤집히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필리버스터 중단 계획을 재확인했다. 그는 “결정된 사항에 대해 양해를 구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형태의 의총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후 7시10분쯤 시작된 의원총회에서도 혼란은 계속됐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의원총회에서 직접 필리버스터 중단 배경 등을 설명하고 의원들의 동참을 호소했지만 반발은 계속됐다. 비대위와 원내지도부는 의원총회를 정회하고 다시 대책 마련에 나서기도 했다. 더민주는 결국 오후 11시가 다 돼서야 이종걸 원내대표를 끝으로 필리버스터를 종료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더민주는 당초 이날 자정을 넘기지 않고 필리버스터를 중단키로 했다. 이를 위해 더민주는 발언을 신청한 의원들의 발언 순서와 발언 시간 등을 급히 조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진후 정의당 원내대표가 바통을 이어 받으면서 필리버스터는 2일까지 연장됐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 원내대표가 충분히 준비를 했고, 하고 싶은 말을 국민에게 충분히 전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더민주 원내 핵심 관계자는 “정의당 의원들의 발언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더민주 내에서는 필리버스터를 마친 의원들을 중심으로 강한 반발이 나왔다. 문재인 전 대표의 지역구인 부산 사상에서 선거를 준비 중인 배재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갑작스러운 필리버스터 중단에 저도 황당했다. 의원들과 논의 없이 보도됐다”고 밝혔다. 주류 진영인 이학영 의원도 페이스북에 “필리버스터 중단 속보를 보고 놀랐다. 힘이 없어 쓰러질 때 쓰러지더라도 이렇게 그만둘 수는 없다”며 “생각과 말까지 억압하는 법을 만들어 장기 집권을 꿈꾸는 세력에게 이처럼 무참히 짓밟힐 수는 없다”고 적었다.
필리버스터를 신청했지만 순서가 돌아오지 않은 의원들도 반발했다. 한 초선 의원은 “기왕 신청했으니 꼭 참여하고 싶다. 남은 신청자들의 발언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더라도 최대한 많은 의원이 동참할 수 있게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더민주 하루 종일 어수선… 강경파 의원들 거센 반발, 의총서 진통 끝 결정 수용
입력 2016-03-01 21:53 수정 2016-03-02 0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