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이란 정부가 이란 유전·가스전 개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한다. 연내 이란산 원유 도입량을 2배 가량 늘릴 방침이다. 그동안 중단됐던 우리 기업의 현지 프로젝트 재개를 위해 양국 간 공동 프로젝트 발굴 등에도 나서기로 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주형환 산업부 장관과 비잔 장가네 이란 석유부 장관은 지난 29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제11차 한·이란 경제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협력방안을 발표했다. 한·이란 경제공동위는 2007년 대이란 경제제재로 중단됐다 10년 만에 재개됐다.
양측은 이번 경제공동위에서 금융·재정·관세·세제, 산업·무역·투자·중소기업, 에너지·자원·광산, 건설·인프라·해운·항만·농업, 보건·의료·환경, 문화·정보통신기술·과학기술·전자정부 등 6개 분과별 협력사업 및 사업 추진 계획을 논의했다. 양측은 기존의 결제 보조수단인 원화결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한편 올해 상반기 중 수출입은행과 이란 상업은행 간 50억 유로 규모의 기본 대출약정도 체결키로 했다. 수은은 이란 2개 현지 은행과 2억 달러 규모의 전대라인(Credit Line)도 개설해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대이란 제재 이후 크게 축소된 이란산 원유 도입량 확대에도 합의했다. 지난해 국내 정유업체들의 이란산 원유 도입량은 약 4200만 배럴로 2011년 8700만 배럴의 절반 수준까지 떨어졌다. 또 한국 내 석유비축기지를 활용하기 위한 협의를 개시해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MOU 체결도 추진키로 했다.
주 장관은 특히 경제공동위를 계기로 열린 고위급 면담 등을 통해 기존에 중단된 대림산업의 ‘천연가스액화플랜트 건설사업’(40억 달러)과 ‘이스파한 정유시설 증설사업’(20억 달러)의 조속한 재개, 현대엔지니어링의 ‘사우스파 12확장 2단계 사업’(36억 달러) 등의 지원을 요청했다. 산업부는 이에 이란 측도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한·이란 “유전·가스전 공동개발” MOU 체결
입력 2016-03-0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