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 통과가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게리맨더링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현역 의원들만 배려했다거나 여야 한쪽에만 유리한 ‘선 긋기’라는 반발이 끊이지 않고 있다. 향후 법적 다툼으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로 만들어지는 충남 천안병 출마를 준비하는 새누리당 이정원 예비후보는 1일 “선거구획정위의 천안 선거구 경계 확정안은 특정 정당 후보들을 유리하게 해준 전형적인 게리맨더링”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당초 천안 지역 범시민협의체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한 경계 조정안에는 백석동과 불당동이 천안병 선거구에 포함됐는데 천안을로 들어가게 됐다”고 했다. 인구 증가 지역인 백석·불당동을 천안을에 그대로 둠으로써 야당 현역 의원에게 유리한 구도를 만들어줬다는 주장이다.
천안 서북부에 있는 성정1, 2동을 동남구 지역구인 천안갑에 포함시킨 데 대해선 행정구역을 고려하지 않은 자의적 선거구 획정이라는 비판도 제기됐다.
서울 강서을 지역구 일부가 쪼개져 강서병이 생긴 것을 놓고선 야권 후보들이 반발했다. 이들은 김성태 의원(강서을)이 4년 전 총선에서 야당 후보에게 500여표 뒤졌던 가양3동이 강서병 지역으로 붙게 됐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더민주 강서을 예비후보인 진성준 의원은 “특정 정치인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진 게리맨더링”이라고 했다.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홍천·횡성)은 강원도에서 5개 시·군이 합쳐진 ‘기형적’ 지역구가 만들어진 데 대해 헌법소원을 제기할 예정이다. 황 의원 지역구 중 홍천은 철원·화천·양구·인제 지역구(새누리당 한기호 의원)로 붙고 횡성은 태백·영월·평창·정선 지역구(새누리당 염동열 의원)로 합쳐지게 됐다.
같은 당 소속 의원과 피 말리는 당내 경쟁에 내몰린 황 의원은 총선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농어촌과 지방을 배려하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한 여야 지도부의 합의는 아무것도 시행된 게 없다”며 “유권자에 대한 모독”이라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총선 연기” “헌법소원 제기”… 선거구 획정안 잡음 속출
입력 2016-03-01 2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