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유엔의 거듭된 제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전략 핵물자를 포함한 군수물품을 거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2012년 일본에 압류당했던 북한 핵물자(합금막대)가 실제 북한이 미얀마의 한 기업에 수출하려던 것이었다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을 인용해 1일 보도했다. 전문가패널은 보고서에서 “해당 기업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지만 미얀마 정부가 이를 거절했다”며 이 기업이 북한 핵물질 이동에 개입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 물품은 우라늄 농축을 위한 원심분리기 제조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또 2010, 2014년 두 차례 압류된 시리아행 북한 화물도 각종 계측장비와 관련 기계 등 군수물품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2013년 이집트로 향하던 북한 선적 화물에서도 역시 스커드미사일 관련 부품이 발견됐고, 우간다와 베트남 경찰훈련 프로그램을 북한군이 운영하는 점도 확인됐다.
보고서는 “북한이 여전히 여러 나라와 군사적 교류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한국 백령도 등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 북한 열병식에서 공개된 미사일 탑재 차량 등도 중국 기업이 개발한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 해군이 일제 해양 레이더를 사용하고, 야간투시경과 광학센서를 미국과 영국에서 들여오려다 실패하는 등 북한이 해외 기업과의 기술개발에도 몰두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2013년 유엔 안보리 대북결의 2094호에 대해 193개 유엔 회원국 가운데 42개국만 이행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실험을 저지하는 데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적극적인 제재 실행을 강조했다. 전문가패널은 2009년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결의 1874호에 따라 대북 제재 이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설치된 기구다.
북한은 또다시 청와대와 미국 본토에 대한 타격 협박을 이어갔다. 북한의 대남선전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조선반도에서 철과 철, 불과 불이 맞부딪치게 되면 그 불꽃이 청와대와 반동 통치기관들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라며 “미제 침략군의 모든 기지들은 물론 아직까지 포탄 한발 떨어진 적이 없다고 하는 미국 본토도 무사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北, 2012년 미얀마에 핵물자 수출하려다 적발”… 유엔 대북제재위 보고서
입력 2016-03-01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