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액션 ‘나쁜 녀석들’ ‘더 록’ ‘트랜스포머’ 시리즈로 흥행에 성공한 마이클 베이 감독은 이번에 실화를 바탕으로 한 테러 스릴러에 관심을 두었다. 그의 신작 ‘13시간’은 2012년 9월 11일 발생한 무장괴한들의 리비아 벵가지 미국 영사관 습격사건을 그렸다. 당시 사건으로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리비아 주재 대사를 포함해 미국인 4명이 숨졌다.
잭 실바(존 크래신스키)는 경제난에 시달리다 리비아 벵가지의 미국 중앙정보국(CIA) 비밀기지를 경호하는 GRS(Global Response Staff)에 자원한다. GRS팀에는 잭의 옛 동료 타이론 론 우즈(제임스 뱃지 데일)가 팀장으로 있다. 9·11 테러 11주년인 2012년 9월 11일 스티븐스 대사가 머문 벵가지 미 영사관에 수십 명의 무장괴한이 들이닥친다.
미 정부는 갑작스러운 피습에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다. 가용할 수 있는 군사력이 근처에 없기 때문이다. 무장을 갖춘 인력은 CIA 소속이지만 민간인 신분인 GRS팀의 요원 6명뿐이다. 하지만 벵가지 CIA 비밀기지 책임자인 밥 소장(데이비드 코스타빌)은 GRS의 개입을 주저한다. 보다 못한 GRS 요원들은 허가도 없이 출동해 구출작전을 감행한다.
‘13시간’은 구출작전에 걸린 시간으로 오프닝 장면에서 ‘이는 진짜 이야기다(This is a true story)’라고 밝힌다. 당시 사건을 최대한 사실에 가깝게 재현했다는 얘기다. 제작진은 미 영사관과 CIA 비밀기지의 인공위성 사진을 구해 당시 건물의 구조와 실존 인물들의 위치 등을 확인해 스크린에 되살렸다. 실제 GRS 요원 3명이 기술자문으로 참여해 사실성을 높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대표적 외교실패 사례로 꼽히는 벵가지 사건은 힐러리 클린턴이 국무장관으로 재임하던 시기에 발생했다. 미 국무부가 초동 대처를 제대로 하지 않아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영화에는 “드론(무인비행기)으로 상황을 다 보고 있을 텐데 뭐 하고 있나” “아무도 안 온다” “해준 것도 없는 나라” 등의 내용이 나오기도 한다.
미 정부를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부분에 대해 민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전 국무장관 입장에서는 이 영화가 그다지 달갑지는 않겠다. 미 해군 특수부대, 육군 특공대, 외교 컨설턴트 등 전·현직 종사자들이 엑스트라로 참여했다. 출연 배우들은 미 해군 특수부대에서 전투훈련을 받기도 했다. 3월 3일 개봉. 15세 관람가. 144분.
이광형 문화전문기자
[영화-마이클 베이 감독 ‘13시간’] 무장괴한 리비아 美 영사관 습격사건… ‘국가의 존재’를 묻다
입력 2016-03-02 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