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 현역 의원 물갈이론’에 이어 ‘공천 살생부설(說)’ 논란까지 등장하며 새누리당 공천을 둘러싼 친박(친박근혜계)과 비박(비박근혜) 간 계파 갈등은 증폭되고 있다. 급기야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28일 당 지도부에 공식 조사를 요청하고 나섰다.
발단이 된 것은 지난 25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측근이 ‘김 대표가 친박 핵심으로부터 현역 의원 40여명 물갈이를 요구하는 명단(살생부)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한 정두언 의원(서울 서대문갑)의 언론 인터뷰였다. 명단에는 정 의원을 비롯해 대부분 비박계 의원이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대표가 27일 김학용 대표비서실장을 통해 “그런 요구를 받은 적이 없고, 정치권에 회자되는 이름들에 대해 (몇몇 비박계 의원과) 얘기를 나눴을 뿐”이라고 해명했지만, 친박계는 청와대가 공천에 개입하려는 인상을 줬다며 김 대표에게 직접 관련 보도의 경위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 이 위원장도 “(김 대표의) 비서실장 해명자료와 정 의원에게서 직접 들은 것은 격차가 있다”며 김 대표를 압박했다.
반면 비박계 일각에서는 오히려 청와대가 공천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 한다며 살생부설이 현실화될 경우 탈당까지 불사하겠다는 얘기도 나온다. 상향식 공천을 내세우며 현역 의원까지 예외 없이 면접 대상에 포함시킨 공관위의 결정이 ‘현역 물갈이를 위한 정지작업’이라는 의혹과 맞물려 계파 간 갈등을 증폭시킨 꼴이 됐다.
공관위는 이날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인 이정현 의원(순천·곡성)을 포함해 호남지역 단독 신청 후보자 4명에 대한 심사를 끝으로 1차 면접 심사를 마무리했다. 공관위는 부적격자와 우선추천·단수추천 지역을 가려내는 본격 자격 심사를 시작하는 동시에 선거구 미획정으로 면접을 치르지 못한 분구 지역은 당헌·당규상 추가 공모기간인 사흘간의 추가 공모를 거쳐 ‘투트랙’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이번엔 ‘비박 살생부說’… 새누리, 공천 계파갈등 증폭
입력 2016-02-28 2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