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곡성’ 광양·구례에 통합… 새누리 유일 호남 지역구 ‘위기’

입력 2016-02-28 20:00 수정 2016-02-29 00:40

4·13총선 선거구가 사실상 확정됐다. 16개 선거구가 새로 생겼고, 9곳이 통합돼 결과적으로 7석이 늘었다. 여야는 전국 단위에선 영·호남 감소 폭을 맞추는 식으로 정치적 균형을 이뤘다. 하지만 동(洞) 단위의 구역·경계 조정이 부수적으로 일어나 여야는 물론 같은 당 후보들끼리도 유불리가 갈리게 됐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자의적으로 선거구를 획정했다는 게리맨더링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체 의석의 58.8%를 차지하는 수도권(122석)과 충청권(27석)이 총선 판도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새누리당 텃밭인 경북은 2석이 줄어 13석이 됐다. 영주와 문경·예천이 영주·문경·예천으로, 상주와 군위·의성·청송이 한 지역구로 통합됐다. 친박(친박근혜) 실세인 최경환 의원의 지역구(경산·청도)는 인구 상한선을 넘어 청도가 영천으로 붙었다. 경산이 가운데 낀 형국이다.

경남은 양산이 갑·을로 쪼개졌지만 현재 ‘무주공산’인 의령·함안·합천이 밀양·창녕과 산청·함양·거창으로 통합되면서 전체 의석수(16석)엔 변화가 없다. 부산에선 정의화 국회의장 지역구인 중·동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영도, 같은 당 유기준 의원의 서와 합쳐졌다. 대신 해운대기장갑·을로 돼 있는 2개 지역구가 해운대갑·을과 기장 등 3곳으로 늘어 전체 의석수(18석)는 19대 때와 같다.

야당 강세 지역인 호남에선 전북과 전남이 1석씩 줄었다. 전북에선 정읍, 남원·순창, 김제·완주, 진안·무주·장수·임실, 고창·부안의 5개 지역구가 정읍·고창, 남원·임실·순창, 김제·부안, 완주·진안·무주·장수의 4곳으로 재편됐다. 김제·완주는 조정 대상이 아니었지만 인구 미달 지역에 둘러싸여 타격을 입었다. 전남에선 장흥·강진·영암이 옆 지역구에 통합돼 고흥·보성·장흥·강진, 영암·무안·신안으로 조정됐다. 호남 유일의 새누리당 지역구인 순천·곡성(이정현 의원)에선 곡성이 광양·구례와 합쳐졌다. 곡성은 이 의원 고향이어서 선거 판세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광주에선 인구가 9만9641명인 동구가 남구와 합쳐져 동남갑·을이 됐다. 이 지역도 자치구 일부 분할이 예외적으로 인정됐다.

충청권은 27석으로 호남 전체 의석(28석)과 비슷해졌다. 대구·경북(TK)을 합한 것보다 2석 많다. 대전은 유성이 갑·을로 쪼개졌다. 충남에선 천안갑·을에 병이 신설됐고, 아산은 갑·을로 나뉘어 2석이 늘었다. 그러나 부여·청양이 공주와 묶이면서 충남 전체로는 1석이 늘었다. 충북은 분구되거나 통합된 지역이 없다. 다만 보은·옥천·영동과 증평·진천·괴산·음성 간 구역이 조정됐고, 청주의 기존 4개 지역구가 상당, 서원, 흥덕, 청원으로 명칭만 달라졌다.

강원도에선 홍천·횡성이 각각 철원·화천·양구·인제와, 태백·영월·평창·정선에 통합되면서 5개 시·군이 묶인 초대형 선거구가 만들어졌다.

권지혜 고승혁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