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파트 경비원과 청소 근로자도 일자리 안정 원한다

입력 2016-02-28 17:41
대단지 아파트에 무인경비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경비원들이 일자리를 잃게 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 가양동 D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경비원 고용 대신 대기업이 운영하는 통합보안 시스템을 설치키로 결정하고 지난 26일 경비원 44명에게 이달까지만 근무하라고 문자로 통보했다. 이 아파트에서 통합보안 시스템 설치안은 2014∼2015년 두 차례 주민 투표에서 부결됐지만 올해 1월 세 번째 투표에서 주민 과반수가 찬성해 통과됐다.

그러나 투표 관련 자료가 공개되지 않아 90가구가 찬성을 철회했고, 전체 660가구 중 150가구는 절차에 하자가 있는 결의가 무효라며 입주자대표회의 김모 회장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해 놓은 상태다. D아파트 경비원들과 이들의 해고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해고 철회를 촉구하면서 거리로 나섰다.

무인경비 시스템 도입 명분은 경비의 효율화와 함께 인건비를 줄여 가구당 월 관리비 부담을 몇 만원 덜고, 첨단화 덕분에 아파트 값이 오른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사각지대가 있는 CCTV는 범죄 및 사고 예방 효과를 발휘하는 경비원의 순찰을 대체할 수 없는 측면이 있다. 게다가 택배물 보관, 눈 치우기, 분리수거, 주차관리, 노약자 부축 등 다양한 서비스는 기계가 결코 대신할 수 없다. 어떤 형태의 경비를 택할 것인지는 결국 아파트 주민들이 결정할 문제지만, 부담이 조금 늘더라도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정신을 발휘하는 게 바람직하다.

환경미화원과 공공시설의 청소노동자도 대부분 노인들이다. 그간 청소 용역 업체를 통해 노동자를 부리면서 갈등을 빚곤 했던 대학교들 가운데 일부가 최근 직접 고용에 나서거나 자회사를 설립해 청소원들의 고용 안정을 꾀하고 있다. 성공회대 장신대 등은 고용 안정과 노동조건이 용역업체보다 더 좋은 사회적기업을 청소 대행 업체로 선정했다.

우리나라 노인들은 가족 부양 전통의 해체와 부실한 공적 연금 탓에 열악한 일자리로 내몰리고 있다. 그들은 높은 고용률에도 불구하고 빈곤층 비율과 자살률 또한 세계 어느 나라보다 더 높은 실정이다. 누구나 늙는다는 인식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노인들을 위해 일자리를 따로 책정하고, 고용을 안정시키려는 배려가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