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선거구가 사실상 확정됐다. 16개 선거구가 새로 생겼고, 9곳이 통합돼 결과적으로 7석이 늘었다. 여야는 전국 단위에선 영·호남 감소 폭을 맞추는 식으로 정치적 균형을 이뤘다. 하지만 동(洞) 단위의 구역·경계 조정이 부수적으로 일어나 여야는 물론 같은 당 후보들끼리도 유불리가 갈리게 됐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하도록 자의적으로 선거구를 획정했다는 게리맨더링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체 의석의 58.8%를 차지하는 수도권(122석)과 충청권(27석)이 총선 판도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은 19대 총선 때보다 10석이 늘어 122석이 됐다. 전체 지역구 의석의 48.2%다. 수도권 민심은 특정 정당으로의 쏠림이 덜하고 이슈에 따라 유동적이어서 선거 막판까지 엎치락뒤치락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에선 기존 성동갑의 일부(금호동 옥수동)가 중구 전체와 합쳐지면서 중·성동갑과 중·성동을로 재편됐다. 중구는 지난해 10월 말 기준 인구가 12만6237명으로 하한선(14만명)을 밑돌았는데 인근 지역구 어느 곳과 합해도 상한선(28만명)을 넘기는 상황이 됐다. 원칙적으로 자치구의 일부를 떼어 다른 지역구에 붙이는 건 허용되지 않지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중구를 예외적인 경우로 인정했다. 이 지역 현역 의원 3명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거나 무소속이다.
강남은 갑·을에 병이 신설됐다. 기존 갑 지역에 있던 삼성동과 도곡동, 을에 포함됐던 대치동이 강남병으로 분구됐다. 갑·을 사이에 병이 끼어 있는 형태다. 강서에서도 기존 갑과 병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와 병(염창동, 등촌제1·2동, 화곡제4·6동, 화곡본동, 가양제3동) 지역구가 새로 생겼다. 강남은 여당 우세, 강서는 야당 우세 지역으로 분류된다.
경기도에선 수원, 남양주, 화성, 군포, 용인, 김포, 광주에서 선거구가 1곳씩 늘었다. 이 중 수원, 화성, 군포는 야당세가 강한 지역으로 꼽힌다. 남양주와 김포, 용인은 최근 신도시 개발로 젊은층이 유입돼 야당에 유리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함께 양주·동두천과 포천·연천, 여주·양평·가평의 3개 선거구가 양주, 동두천·연천, 포천·가평, 여주·양평의 선거구로 재편되면서 4곳이 됐다. 기존 3개 선거구 체제에선 새누리당이 2석, 더불어민주당이 1석이었다. 동두천·연천 선거 결과에 따라 2대 2가 될지 3대 1이 될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연천은 여당 지지세가 강하지만 인구가 적고 동두천은 현역 시장이 야당 출신이어서 판세를 쉽게 관측하기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
인천은 연수가 갑·을로 나뉘었다. 중·동·옹진에 강화가 붙고, 강화와 묶여 있던 서는 갑을로 쪼개졌다. 남동갑·을과 부평갑·을에선 경계 조정이 이뤄졌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線의 전쟁’ 일부 게리맨더링 논란… 달라진 선거구 구획표, 유·불리 계산은?
입력 2016-02-28 19:46 수정 2016-02-29 0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