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北 제재’ 中과 빅딜설 진화… 러셀 방한·발언 배경

입력 2016-02-26 21:31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과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26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에서 만나 웃으며 악수하고 있다. 윤성호 기자

대니얼 러셀 미국 동아태 차관보의 26일 발언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관련해 ‘미국의 기존 입장이 바뀐 것 아니냐’는 의혹을 불식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 미국 고위 관리들이 사드를 두고 이전보다 다소 후퇴한 듯한 발언들을 내놓자 국내에서 여러 해석이 쏟아져 나온 바 있다.

해리 해리스 미국 태평양사령관은 25일(현지시간) “한국과 미국이 사드 배치 문제를 협의하기로 합의한 것이지 사드를 배치키로 합의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왕이(王毅) 외교부장과의 회담에서 “북한 비핵화를 이룰 수 있다면 사드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사드 배치를 위한 한·미 간 협의가 별다른 이유 없이 지체되면서 이런 발언의 진의가 무엇인지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적극 동참하는 등 중국의 변화가 가시화되자 미국이 한반도 사드를 ‘지렛대’로 쓴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중 관계 악화를 무릅쓰고 사드 배치를 강행하던 한국이 ‘낙동강 오리알’이 될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러셀 차관보의 발언은 이런 논란들에 대해 ‘교통정리’를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무부 당국자로서 사드 배치는 외교가 아닌 한·미동맹 사안임을 강조한 건 ‘사드 배치를 두고 미 국무부와 국방부 간 이견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염두에 둔 듯하다. 해리스 사령관 또한 “중국이 한·미가 동맹 사안에 간섭하는 것은 가당치 않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방미 중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사드에 대한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다. 왕 부장은 워싱턴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세미나에 참석해 “한국과 미국이 한반도 배치를 검토 중인 사드의 X밴드 레이더가 중국 내부에까지 도달한다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중국의 정당한 안보 이익이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