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해소에 역량 집중’ 사회공헌도 적극… 공공기관 등 사업 추진 방식 개방

입력 2016-02-28 20:43
정부3.0의 목표는 정부 정책과 공공 서비스가 국민들을 직접 찾아가 변화와 발전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 있다. 공공기관과 공기업들의 사업 추진 방식도 개방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다가서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극심한 사회 문제인 청년실업 해소에 모든 사업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취업에 드는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는 일학습병행제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지원 대상을 늘리는 한편 기업과 청년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 기업 등과의 협력사업도 강화하고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학교 밖 청소년의 자립을 지원하는 등의 사회공헌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해부터 여성가족부와 함께 스포츠를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자립 지원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단순 기부활동을 넘어 소외계층의 삶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데 무게를 실었다. 올해는 학교밖 청소년들이 스포츠 정신을 통해 비전을 갖도록 돕는 스포츠 토털 교육 프로그램인 ‘스포츠맨십 캠프사업’도 처음 추진된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자력발전소 현장이 회사의 전부라는 점을 내걸고 현장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의 안전성 등에 대한 국민 감정과 위기의식을 현장에 있는 전 직원이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조석 사장이 직접 전국 73개 현장사업소를 방문해 간담회를 여는 등의 행보를 계속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안전관리 시스템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합시켜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 상황에 대해 해당 지방자치단체 뿐 아니라 정부와 공사, 서울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이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정보공유를 근간으로 하는 정부 3.0정책의 대표적 사례인 셈이다.

현장밀착형 안전관리도 강화하고 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친환경제품에 부여하는 환경마크 인증 신청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온라인화했다. 환경마크 인증 신청기업의 애로사항을 현실성있게 해소하기 위함이다. 일반국민들에게 다소 낯선 환경 기술, 환경산업 등에 대한 정보를 적극 개방하려는 노력도 강화하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