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소득 증가율이 6년 만에 최저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5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7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9년의 1.2% 이후 가장 낮은 증가폭이다. 특히 월급쟁이들의 근로소득(1.6%), 기초연금 등 이전소득(9.4%), 재산소득(0.1%) 증가와 달리 자영업자의 경우 사업소득(-1.9%)이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이로 인해 지난해 폐업한 자영업자가 5년 만에 최대인 8만9000명에 달할 정도였다.
이러니 소비가 살아날 리 없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6만3000원으로 0.5%밖에 늘지 않았다. 역대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이 때문에 가계의 연간 소비성향(소득에 대한 소비의 비율)이 역대 최저치(71.9%)를 기록했다. 월 100만원을 버는 가구가 28만1000원을 저축할 정도로 씀씀이를 자제하고 있다는 의미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구사한 온갖 소비확대 정책이 먹혀들지 않은 셈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소비심리가 연말부터 이달까지 3개월 연속 악화돼 지난해 메르스 사태 당시 수준으로 추락했다니 문제가 심각하다.
지갑이 꽁꽁 얼어붙은 것은 경기 둔화 영향에다 급증하는 가계부채 부담, 고령화에 따른 노후대비, 청년실업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 여기에 초·중·고생의 1인당 사교육비가 지난해 월평균 24만4000원으로 2007년 조사 이래 최고치라고 하니 가계의 소비 여력은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다. 결국 가계의 숨통이 트이려면 소득증대 대책이 필요하다. 이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도 연결된다. 그런 만큼 최근 정부가 거시경제 운용 방향을 성장률에서 고용률 중심으로 전환키로 한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말과 숫자놀음이 아니라 구체적인 정책 실행이 뒤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당국자들부터 안이한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사설] 소득은 쥐꼬리만큼 늘어 지갑은 얼어붙었다
입력 2016-02-26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