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이 유가증권시장이나 코스닥에 상장하는 길이 넓어질 전망이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5일 민간 중심의 심의·자문기구로 출범한 금융개혁추진위원회 1차회의에서 “금융개혁 2라운드에 접어드는 올해는 기업들에 더욱 직접적이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제를 추진하겠다”며 “재무 요건 중심의 거래소 상장제도를 개편해 기업의 성장가능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증권 공모 제도도 기업들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개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를 위해 상장 요건을 일부 완화하고 공모 가격을 산정할 때에도 주관사 같은 인수인에게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투자자 보호를 위해 주관사의 위험선별 책임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추위 위원장인 장범식 숭실대 부총장도 “지난해에는 국민 편익을 위한 서비스가 많이 출시됐는데, 올해는 기업들에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금융개혁 과제를 집중 발굴해 논의하겠다”고 방향을 밝혔다.
지난달 시작된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책도 추진된다. 기업과 크라우드펀딩 업체를 연결하는 기업투자정보마당을 개설하고 관련 펀드를 다양하게 확충한다. 금융회사나 핀테크기업의 해외진출과 금융인프라 수출도 시도한다. 5월 한국·프랑스 고동 핀테크 세미나를 열고, 핀테크 관련 기업을 소개하는 핀테크데모데이를 미국 영국 동남아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책임도 강조했다. 전날 개인통합자산관리계좌(ISA)의 과열경쟁을 경고했던 임 위원장은 “금융상품 설명을 소비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고 가입절차도 개선해 불완전 판매나 불필요한 서류를 요구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소비자들의 민원이 많은 금융기관이나 상품에 대해서는 사후 책임을 더 강하게 추궁한다는 방침이다.
김지방 기자
벤처기업 상장 쉬워진다… 재무 상황보다 성장 가능성 평가
입력 2016-02-25 2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