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1차 컷오프 대상자 발표를 신호탄으로 4·13 총선 공천 경쟁의 서막이 올랐다. 더민주는 현역의원 평가에서 하위 20%에 속한 10명을 공천에서 배제한데 이어 3선 이상 50%, 초·재선 의원 30%를 정밀심사 대상으로 분류해 추가 컷오프 대상자를 추려낼 계획이다. 현역의원 교체율이 40∼50%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물갈이는 불가피하다. 정당이 자선단체가 아닌 이상 선거에서 이기려면 의정활동이 미미하거나 당선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의원들을 공천에서 배제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대부분의 컷오프 대상자가 친노·86세대(80년대 학번·60년대생)라는 점에서 비주류가 우려했던 친노패권주의가 작용하지 않았다는 것은 어느 정도 확인됐다.
그러나 컷오프 대상자 10명의 면면을 보면 어떤 기준이 적용됐는지 뒷말이 나올 수밖에 없다. 수긍이 가는 것도 있지만 지나치게 기계적 기준에 매몰돼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전략적 판단 미스를 범한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홍의락 의원(비례대표)의 경우다. 대구의 유일한 야당 현역의원으로 야세(野勢)가 척박한 이곳(북을)에서 분투 중인 그를 부적격자로 내친 더민주의 결정은 ‘TK 포기’ 선언이나 마찬가지다. 대구의 12개 선거구 가운데 홍 의원을 포함해 겨우 3명만이 예비후보로 등록했을 만큼 이곳에서의 더민주 환경은 열악하다. 홍 의원을 대신할 다른 후보가 있는 것도 아니다. 전략도, 생각도 없는 이 같은 아마추어 공천으로는 총선에서 절대 좋은 결과를 거둘 수 없다.
새누리당과 국민의당도 뒤질세라 대규모 인적쇄신을 예고한 상태다. 더민주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공천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꾸는 게 능사가 아니다. 19대 국회만 해도 초선의원 비율이 49.7%에 이를 정도로 확 바뀌었지만 역대 최악의 국회라는 오명을 듣고 있다. 국민의당 경우 원내교섭단체 구성이 발등에 떨어진 시급한 문제라 해도 다른 당 공천에서 탈락한 의원을 영입하는 일은 하지 않았으면 한다. 이삭줍기는 국민의당이 추구하는 새정치와 어울리지 않을 뿐더러 국민의 공감을 얻기도 어렵다. 각 당 모두 물갈이 폭에 얽매여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공천은 없어야겠다.
[사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공천은 없어야
입력 2016-02-25 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