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왼쪽)과 묵인희 교수(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오른쪽) 연구팀이 산화세륨(CeO₂) 기반의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 항산화제를 개발해 알츠하이머 생쥐에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25일 밝혔다. 묵 교수는 “알츠하이머 치매뿐 아니라 여러 신경퇴행성질환의 치료제 개발에도 획기적 전환점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강력한 항산화제인 산화세륨 나노입자 표면에 미토콘드리아 표적물질인 TPP(Triphenylphosphonium)를 입혀 새로운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미토콘드리아 내 활성산소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에너지원을 만들 때 생기는 부산물이다. 미토콘드리아가 오염물질과 스트레스로 기능 이상을 보일 때 과다하게 발생해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연구진이 미토콘드리아 표적 나노입자를 실험용 알츠하이머 생쥐의 뇌에 직접 주입한 결과 손상된 신경세포가 회복되고 신경염증 반응이 완화되는 등 치료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는 지난 11일 발간된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IBS 현택환·묵인희 교수 연구팀 “나노입자 항산화제 생쥐 알츠하이머 치료 효과 입증”
입력 2016-02-25 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