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다면평가·여론조사 결과가 운명 갈랐다

입력 2016-02-24 22:36 수정 2016-02-25 00:26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가 24일 공천심사 배제 결정을 내린 현역 의원 10명의 운명을 가른 변수는 다면평가와 여론조사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만든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의 현역의원 평가기준은 지역구 의원의 경우, 의정활동·공약이행평가 35%, 선거기여도평가 10%, 지역활동평가 10%, 다면평가 10%, 여론조사 35%이다. 비례대표 의원은 의정활동평가 70%에 다면평가 30%로만 이뤄졌다.

복수의 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날 공개된 선출직공직자평가 ‘하위 20%’ 대상자들은 대부분 다면평가와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공천심사 배제 통보를 받게 된 것으로 보인다. 당의 한 핵심 관계자는 “의정활동 평가에서는 의원 간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며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난 것은 다면평가 항목이었다”고 전했다. 다른 관계자는 “지난해 컷오프 기준이 정해졌을 때도 의정활동이나 공약이행도 등 정량평가가 가능한 부분에서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됐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혁신위가 마련한 공천혁신안을 놓고 극심한 진통을 겪을 때도 비주류 의원들이 가장 크게 반발한 것은 바로 다면평가 항목이었다.

평가위는 지난해 현역 의원 전원을 선수와 상임위원회별로 그룹을 만들어 다면평가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논란이나 의혹이 제기된 의원들에 대한 동료의원들의 평가가 박했다는 것이다. 3선의 노영민 의원은 카드 단말기를 의원실에 설치해 자신의 시집을 강매했다는 논란이 마이너스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5선의 문희상 의원도 처남의 취업청탁 의혹이 다면평가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입법 로비’ 의혹으로 재판이 진행 중인 신계륜 의원 역시 동료 의원들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지 못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현 의원도 2014년 논란이 된 ‘대리기사 폭행 사건’ 재판이 진행 중이던 시점에 다면평가가 이뤄져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평가위 관계자들이 다면평가를 하는 동안 문 앞에서 지키고 있을 정도로 의원 간 상호 논의를 제한했지만, 최종평가를 내놓기 전에 서로 충분히 숙의할 시간이 있어 나중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공개는 안 했지만, ‘1차 컷오프’ 명단에는 탈당 후 국민의당에 합류했거나 무소속인 의원 12명이 포함됐다. 이날 공천심사 배제 통보를 받은 의원 10명과 불출마를 선언한 문재인 전 대표와 김성곤 최재성 의원 등 3명은 더민주 소속이다. 전체 25명의 컷오프 대상 가운데 이들 13명을 제외한 나머지 12명은 더민주를 탈당한 의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안철수 문병호 김동철 유성엽 황주홍 신학용 의원 등 6명은 탈당과 불출마 등의 이유로 평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국민의당 소속이거나 무소속인 의원 가운데 6명은 평가위 평가를 모두 거친 결과 하위 20%에 분류된 셈이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