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1차 컷오프’ 이후에도 정밀 심사를 통한 추가 물갈이를 예고하고 있어 공천을 둘러싼 잡음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를 필두로 한 신주류 세력이 본격적으로 공천 칼자루를 휘두르면서 이들의 당내 영향력도 갈수록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공관위는 3선 이상 중진 의원의 최대 절반을 공천에서 탈락시킬 수 있는 2차 컷오프 안을 준비해 놓고 있다. 공관위원들은 추후 3선 이상 의원의 하위 50%, 초·재선 의원의 하위 30%를 상대로 ‘가부(可否) 투표’를 벌인다. 공관위원 과반의 ‘부적격’ 판정을 받은 의원은 1차 컷오프 대상자가 그러하듯 공천을 받기 위한 면접조차 볼 수 없다. 현역 의원 108명 중 1차 컷오프로 탈락한 의원 10명과 불출마를 선언한 의원 3명을 제외하면 3선 이상 중진은 24명, 초·재선은 71명이다. 정밀심사 대상자가 전원 탈락할 경우 최대 33명(3선 이상 12명, 초·재선 21명)이 추가로 공천에서 배제될 수 있다.
2차 컷오프 평가 잣대는 실사단의 현지조사와 여론조사 결과 등이다. 공관위원들은 막말 파문이나 갑(甲)질 논란으로 당 윤리심판원에 제소된 의원에 대해서도 별도 가부 투표를 실시한다.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24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밀 심사의 여론조사와 관련해 “공관위에서 내용을 확정하면 바로 할 것”이라며 “김헌태 공관위원이 여론조사 전문가다. 공관위에서 확정되면 바로 (여론조사에) 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칼자루를 쥔 공관위는 9명으로 구성돼 있다. 홍창선 위원장 외에 남성과 여성이 각각 4명이다. 김종인 대표와 친분이 있거나 홍 위원장이 공모를 통해 선발한 사람들이다. 김 대표와 홍 위원장의 영향력이 절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2차 컷오프는 선수(選數)를 기준으로 중진 의원에게 칼날을 겨누고 있어 정치권 안팎에 미치는 영향이 1차 컷오프보다 훨씬 클 수 있다. 홍 위원장은 그동안 현역 의원 교체 비율이 40∼50% 수준이 될 수 있음을 수차례 밝혔다.
박지훈 기자 lucidfall@kmib.co.kr
[관련기사 보기]
1차 컷오프는 새발의 피? 더 센 ‘김종인의 칼’ 뺀다
입력 2016-02-24 22:09 수정 2016-02-25 0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