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공천작업 박차 본격 레이스… 투표율·野 분열·안보 이슈 ‘3大 변수’

입력 2016-02-25 04:07

4·13총선 레이스가 달아오르고 있다. 석 달 넘게 끌어온 선거구 획정 협상을 마무리한 여야는 후보 공천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 당은 ‘180석’(새누리당) ‘130석’(더불어민주당) ‘40석’(국민의당)이란 목표 의석수도 내걸었다. 차기 대선 구도까지 요동치게 만들 수 있는 이번 총선의 성적표를 좌우할 변수는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핵심적인 변수는 투표율이다. 구체적으로는 투표율 50%를 분기점으로 이보다 높으면 야당이, 이보다 낮으면 여당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이명박정부 초기인 2008년 치러진 18대 총선의 투표율은 46.1%, 2012년 실시된 19대 총선은 54.2%였다. 투표율이 높으면 야당에, 낮으면 여당에 유리하다는 통설(通說)도 얼추 맞아떨어졌다. 투표율이 50%를 밑돌았던 18대 총선에서 여당이던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은 153석을 얻었다. 당시 공천 갈등으로 여권은 분열돼 있었다. 친박연대(14석), 친박무소속연대(12석)까지 합치면 범여권이 얻은 의석은 모두 179석에 달했다. 반면 제1야당이던 통합민주당은 81석밖에 확보하지 못했다.

투표율이 50%를 넘었던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152석으로 과반을 가까스로 넘겼고,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각각 127석, 13석을 얻어 약진했다.

현재까지 총선 전망은 야권에 녹록지 않다. 정치 혐오증이 커지면서 야권 성향 유권자의 투표 참여가 줄어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전망이다. 시대정신연구소 엄경영 대표는 24일 “안보 이슈가 전면에 나온 데다 야권 분열 등에 따른 정치 불신과 국회 심판론이 맞물려 유권자의 투표 참여 가능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보수 성향 투표 경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 즉 야권 분열을 틈타 여당인 새누리당이 180석을 확보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새누리당도 180석 이상을 얻어 원내 5분의 3 이상 의결 요건을 규정한 현행 국회법(일명 국회선진화법)의 한계를 돌파하겠다는 구상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총선 결과 제1당이 원내 과반의석을 가까스로 얻었을 뿐 단 한 차례도 160석 이상을 얻은 정당은 없다. 특히 선거가 다가올수록 ‘견제 받지 않는 거대 여당’ 출현을 우려하는 표심이 야권표 결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남아 있다.

선거의 단골 메뉴이자 변수였던 ‘심판론’은 이번 총선에선 두 가지 형태로 표출되며 팽팽한 힘겨루기를 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율 추이를 볼 때 20대 총선은 ‘야권 분열과 무능’에 대한 심판 투표 성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일자리 확보를 위한 노동개혁 등 4대 개혁이 야당의 무조건 반대로 발목이 잡혀 있으니 이번 총선에서 심판해 달라고 호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야당은 언제나 경제가 선거의 중요 변수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개성공단 폐쇄와 한·중 관계 악화 등 안보불안 심리가 경기 악화와 맞물리면서 정권심판론이 번질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수저계급론’으로 대변되는 청년층의 불만이 정권심판 표심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