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이 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율형사립고를 일반고로 통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고교 평준화가 무너지면서 ‘교육의 양극화’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조희연표 교육개혁’의 핵심인 일반고 살리기 정책이 다시 힘을 받을지 주목된다.
서울교육청은 고려대 교육학과 김경근 교수 연구팀이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보고서를 최근 조희연 교육감에게 제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로 이어지는 수직적 서열체계가 강고하게 구축돼 고교 평준화 제도가 사실상 붕괴했다”며 현행 고교체제와 고입 전형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일반고는 교육여건이 특목고·자사고보다 열악한 데다 많은 학생이 무력감과 열패감에 젖어있다고 평가했다. 중학교 때 학업성취도가 높았던 우수 학생들이 주로 전기고로 진학하고, 후기인 일반고에는 중·하위권 학생들이 배정돼 일반고가 집중적 불이익을 받는다고도 봤다. 연구팀은 “학교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 격차가 점점 커지고, 많은 일반고가 수업·생활지도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현재의 전·후기 선발을 폐기하고 ‘3단계 배정’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1단계로 특성화·마이스터고, 2단계로 특목고·자사고·일반고가 동시 선발하고 3단계에서 부족 인원을 충원하는 방식이다. 또 역할이 중복되는 외고, 자사고, 국제고 등을 일반고에 통합해 일반고, 특성화고, 특목고(과학·예술·체육고)로 단순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법령 개정과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 즉각 시행되는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교육청, 서울 ‘외고·국제고·자사고’ 일반고로 통합 검토
입력 2016-02-24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