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관료 부대 여전… 관피아방지법 있으나마나 ‘산업부 출신 20명 최다’

입력 2016-02-24 22:01
지난해 3월부터 일명 ‘관피아 방지법’(공직자윤리법) 개정안이 시행됐지만 관료 출신이 산하 기관장이나 공기업 최고경영자(CEO)로 부임하는 낙하산 인사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직속 산하기관이나 협회로 갈 경우 여론의 질타를 받을 것을 우려해 타 부처 산하기관장으로 부임하는 ‘스와핑’도 횡행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국민일보 1월 13일자 1면 참고). 특히 산업통상자원부 출신이 20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는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공시된 현직 공기업 CEO 및 공공기관장 288명(2월 15일 기준)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관료 출신은 총 104명이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 중 35명은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시행 이후 부임한 인사였다.

CEO스코어는 2014년 4월 발생한 세월호 사고 이후 민관 유착과 전관예우 등의 폐해를 막기 위해 공직자윤리법을 개정해 시행하고 있지만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낙하산 인사는 여전히 직속 산하기관에 집중돼 있었다. 관료 출신 기관장 104명 중 73명(70.2%)이 직속 산하기관, 나머지 31명(29.8%)은 타 부처 산하기관에 자리 잡았다.

현재 재직 중인 산업부 출신 공공기관장은 20명(19.2%)으로 타 부처 출신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이들은 산업부 산하 각종 공기업과 공단, 재단 등은 물론 중소기업청과 특허청 산하기관 자리까지 차지했다.

그 뒤를 농림축산식품부(10명)와 법무부(8명)가 이었다. 농식품부 출신 10명은 모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나 한국농어촌공사 등 직속 산하기관에 자리 잡았다. 법무부 출신은 2명만 직속 산하기관에 부임했고 나머지는 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보건복지부 등 타 부처 산하기관으로 갔다. 청와대와 총리실에서도 각각 7명의 관료가 산하기관에서 근무 중이었다.

재무부 출신 인사를 지칭하는 ‘모피아’의 후신격인 기획재정부 출신도 6명이나 됐다.

조사 대상 공공기관 중 2월 말 현재 관료 출신 공공기관장이 없는 부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유일했다.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