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청와대와 주요 정부시설에 대한 공격을 공언한 북한이 실제로 주요 시설에 대한 정보를 대거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는 북한이 실제 도발을 감행할 경우 “독재체제의 붕괴를 재촉할 것”이라며 강도 높게 경고했다.
남북 간 ‘강 대 강’ 대결 구도가 고조되면서 북한발(發) 사이버 테러는 물론 군사분계선(MDL)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의 국지도발이 벌어질 가능성도 높다는 분석이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24일 브리핑을 통해 “북한이 우리나라 국가 주요 시설 정보를 수집하는 정황이 속속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통상적으로 북한이 우리 주요 기관에 해킹을 시도하면 우리 정부는 그것을 막는다. 그런데 최근 하루에도 수십건씩 (해킹 시도가) 들어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공항이라든지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등 중요한 시설에 대해 계속 자료를 수집하고, 우리는 그걸 막았다”고 부연했다. 이 의원의 발언은 테러방지법과 함께 사이버테러방지법 통과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나온 것이다. 실제 북한은 2014년에도 한국수력원자력을 해킹해 원자력발전소 도면 등을 외부로 유출했다. 국가정보원은 지난 18일 긴급 안보점검 당정협의에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최근 대남 테러역량 결집을 지시했다고 보고했었다.
우리 군은 북한 위협에 대해 실제 도발 시 단호한 응징이 뒤따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 최고사령부 성명에 대한 우리 군의 입장’ 성명에서 “북한이 우리의 준엄한 충고를 무시하고 도발을 감행한다면 계획되고 준비된 대로 단호한 응징을 통해 뼈저리게 후회하도록 만들 것”이라며 “북한 독재체제 붕괴를 재촉하게 될 것임을 분명히 경고한다”고 했다.
이어 “북한은 ‘천백배 보복’ ‘처절한 대가’ 등을 운운하며 우리 측을 위협했다”며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도발에 대해 국제사회가 강력 규탄하고 제재 조치를 논의하는 시점에 적반하장격의 노골적인 위협을 반복하는 행태는 결코 묵과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북한은 주요 기관에 대한 사이버 테러를 지속적으로 시도하면서 군사적 도발 기회를 노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처럼 대북 확성기 지역에 대한 타격이나 DMZ, NLL 인근에서 무모한 도발을 시도할 개연성이 있다.
특히 이번엔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키리졸브·독수리연습 등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앞서 ‘선제적 작전 수행’을 예고해 조만간 도발을 감행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북한은 과거 ‘서울 불바다’ 등으로 위협한 적은 있어도 직접 ‘청와대 타격’을 언급한 적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고강도 제재 결의안도 초읽기에 들어간 상태여서 실제로는 단순한 저강도 도발에 그치거나 실행 계획도 없는 북한 내부용 발언일 뿐이라는 해석도 적지 않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북한, 하루 수십건씩 주요기관 해킹 시도”
입력 2016-02-24 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