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학대·폭력·자살 등 정신질환과 밀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전담 기구가 만들어진다. 국립서울병원은 ‘국립정신건강센터’로 이름을 바꿔 국가정신보건사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한다.
행정자치부와 보건복지부는 국립서울병원과 4개 국립정신병원(나주·부곡·춘천·공주)의 직제개편 시행령 개정안을 2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 국립서울병원은 다음달 1일부터 국립정신건강센터로 명칭이 변경된다. 기존에 해오던 정신질환자 진료뿐 아니라 국민정신건강의 증진·연구를 맡는다. 우울증과 스트레스 등이 정신병이 되는 것을 예방하는 ‘정신건강증진사업부’가 신설된다. 정신질환이 유발하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정신건강연구소도 새로 만들기로 했다.
신체질환과 정신질환을 복합적으로 앓는 환자에 대한 진료도 강화된다. 2013년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성인 정신질환자의 86.8%가 2개 이상의 질환을 보유하고 있으나 치료시설과 인력이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복합질환자의 협진 수요가 많은 소화기·호흡기·신경·소아청소년·재활의학 등 5개 진료과를 신설키로 했다. 4개 국립정신병원에도 정신건강증진사업 전담기구를 둬 각 지역에서 전문적인 치료·상담기법을 개발하고 보급에 나설 방침이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국립서울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로 바뀐다
입력 2016-02-23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