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에는 지하철과 버스를 비롯해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에서 무료로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9월에 문을 여는 ICT(정보통신기술) 중심의 디지털 융복합산업 전진기지인 ‘개포디지털혁신파크’를 통해 2020년까지 33만여명의 창의적 인력이 양성된다.
서울시는 23일 디지털 정책 5개년 로드맵을 담은 ‘서울 디지털기본계획 2020’을 발표했다. 시는 기본계획의 비전을 ‘새로운 연결, 다른 경험 Global Digital Seoul 2020’으로 설정하고 4대 전략과 54개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시는 2020년 세계 디지털 수도를 목표로 향후 5년간 4605억원을 투입한다.
우선 ‘디지노믹스’를 실현해 서울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한다. 디지노믹스는 디지털(Digital)과 이코노믹스(Economics·경제학)를 합친 용어로 디지털산업 기반의 경제 활성화를 의미한다. 오는 5월 출범하는 ‘서울디지털재단’이 디지노믹스 활성화를 위한 통합 플랫폼 역할을 한다.
시는 핀테크(금융과 IT 기술의 융합) 관련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2020년까지 30개 기업을 발굴·육성한다. 또 올해 상암동 S플렉스센터에 빅데이터 캠퍼스가 조성된다. 구로 G밸리는 사물인터넷 전문 아카데미 운영 등을 통해 2020년까지 124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243개 유망기술을 발굴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해 스마트폰으로 원격 조정하는 ‘사물인터넷’ 실증지역이 2020년까지 100곳으로 확대돼 서울 전역이 하나의 거대한 ‘리빙랩’(일상생할 실험실)으로 바뀐다.
시는 또 주차장 위치, 실시간 주차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주차정보시스템’을 통해 2020년까지 550개 주차장(공영 100%, 민영 20%)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주차문제 해소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공공기관과 민간시설 등의 생활복지정보를 한 곳에서 통합·관리하는 ‘통합생활복지정보시스템’을 2017년까지 구축해 서울형 복지정책의 디지털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개편이 완료되는 2018년부터는 서울의 424개 모든 동주민센터에서 원스톱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박원순 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노타이’에 재킷 차림으로 인터랙티브 화면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울 통계 보는 법을 시연하고, 인도 뭄바이시 기술담당 부시장과 즉석 화상통화를 했다. 박 시장은 “올해는 서울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지털 수도로 가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 모든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 디지털기본계획 2020 발표
입력 2016-02-23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