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가 3선 이상 현역 의원 절반을 공천심사에서 배제(컷오프)할 수 있는 공천안을 발표했다. 기존 선출직공직자평가 ‘하위 20%’ 컷오프를 통과한 현역 의원들도 정밀심사를 통해 추가 배제키로 한 것이다. 의원들 사이에서는 “‘김종인 독재당’이 됐다” “묵과할 수 없다”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더민주 공관위는 22일 회의에서 1차 관문인 평가위 ‘하위 20%’를 통과한 현역 의원들을 대상으로 자체 여론조사를 실시키로 의결했다. 여론조사와 실사단의 현지 조사를 취합해 평가한 뒤 3선 이상 의원의 하위 50%, 초·재선 의원의 하위 30%에 대해 공관위원들이 ‘가부 투표’를 하는 방안을 결정했다. 만약 공관위원 과반 이상이 ‘부적격’ 판정을 내릴 경우 해당 인사는 공천심사에서 배제된다. 공관위는 또 막말이나 갑(甲)질 등으로 도덕적 논란을 빚은 인사들도 추가 윤리심사를 거치도록 했다.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브리핑에서 “3선 이상은 조금 더 엄격히 해야겠다는 기준이 적용된 것 같다”며 “(컷오프 관련) 큰 원칙을 정하고, 이를 통과한 현역 의원들만 면접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더민주는 현역 의원들에 대한 면접 심사를 다음 주로 미루기로 했다. 현재 더민주 소속 초·재선 의원은 78명, 3선 이상 의원은 30명이다.
이른바 ‘공천 살생부’로 불리는 선출직공직자평가 하위 20% 대상자 발표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공관위가 ‘공천 피바람’까지 예고하자 현역 의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수도권의 한 다선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현역 의원을 단순히 선수(選數)로만 구분해 차등 심사하겠다는 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기준”이라며 “우리 당은 ‘김종인 독재당’이 됐다. 국민의당 ‘안철수 사당화’ 논란은 귀여운 수준”이라고 했다. 다른 3선 의원은 “보자보자 하니까 무슨 점령군처럼 지들 마음대로 하려고 한다”며 “새누리당도 아니고, 이 사람들이 단체로 돌아버린 것 아니냐. 횡포도 이런 횡포가 없다.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수도권 초선 의원도 “지역마다 야당 지지세가 다른데, 그 여론조사로 줄을 세워 공천에서 배제한다는 발상 자체가 납득이 안 된다”고 했다.
그동안 전략공천설이 제기된 문재인 전 대표의 ‘1호 영입인사’ 표창원 비대위원은 분구가 예상되는 경기도 용인을에 출사표를 던졌다. 그는 “당 지도부에 힘을 실어드리기 위해 어떤 특별한 수혜도 받지 않겠다”며 경선을 선택했다. 공관위는 조만간 전국 10여곳의 전략공천 지역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에서는 양향자 전 삼성전자 상무와 오기형 변호사 등의 전략공천이 거론된다. 수도권에서는 김병관 비대위원과 김정우 세종대 교수 등이 각각 경기 분당과 군포 지역 전략공천 후보자로 언급된다.
한편 김 대표는 이번 4·13총선 비례대표 출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비대위 전체회의에서 총선 출마 관련 질문에 “단도직입적으로 ‘뭘 하겠다’ ‘안 하겠다’는 말을 드릴 수 없다”며 “지금 상황이 어떤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신상에 대해 뭐라 이야기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한 중진 의원은 “당을 구하러 오겠다는 사람이 자기 욕심을 드러내는 순간 이번 총선은 물거품이 되는 것”이라며 부정적 시선을 드러냈다. 김 대표는 보수와 진보 진영 양쪽을 오가며 비례대표로만 4선 의원을 지낸 바 있다.
최승욱 문동성 기자 applesu@kmib.co.kr
더민주 ‘공천 살생부’ 2월 23일 통보… “김종인 독재당” 반발
입력 2016-02-22 22:17 수정 2016-02-23 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