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이 5세대(5G) 충족 기준인 20Gbps 속도의 벽을 깼다.
SK텔레콤은 MWC 2016에서 20.5Gbps 속도로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5G 시연에 성공(사진)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실이 아닌 공공장소에서의 시연은 처음이다.
20Gbps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정의한 5G 기준 속도다. SK텔레콤은 초고주파 대역에서 ‘센티미터(cmWave)-밀리미터파(mmWave)’ ‘다중안테나’ 등 핵심 기술을 결합해 5G 속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20.5Gbps 속도는 LTE(75Mbps) 데이터 전송보다 약 270배 빠른 속도로, 초고화질(UHD) 영화 한 편(약 20GB)을 약 8초 만에 전송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빠른 속도를 바탕으로 5G 관련 서비스도 시연했다. 그중 360도 어느 곳에서나 사물의 형상을 볼 수 있는 ‘3D 홀로그램 통신’이 눈길을 끌었다. 10×10×10㎝ 크기의 ‘3D 홀로그램’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5G 환경에서 가능한 초당 8Gbps 속도의 데이터 통신을 필요로 한다. ‘3D홀로그램’ 기술이 상용화되면 마치 상대방이 바로 앞에 있는 듯이 홀로그램 통화나 회의를 하고, 유명가수의 콘서트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과 KT는 일본 NTT도코모, 미국 버라이즌 등과 함께 5G 시범 서비스 규격 연합(TSA)을 결성키로 합의했다. 앞으로 통신 장비업체 참여를 늘려 글로벌 5G 표준화를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TSA에 합류한 4개의 회사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5G 시범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및 구체화에 협력한다. 먼저 공통 플랫폼 규격을 만들고, 무선 접속 시험을 통해 5G 규격의 신뢰성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TSA는 향후 평창동계올림픽 5G 시범서비스 대역으로 예상되는 6㎓ 이상 주파수를 이용해 주파수 특성에 따른 효과 및 장단점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효율성 높은 글로벌 표준을 제정할 계획이다.
바르셀로나=김준엽 기자
[MWC 2016] SKT, MWC서 5G 세계 첫 시연
입력 2016-02-22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