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원내외 후보를 가리지 않는 ‘현미경 심사’ 방침을 정하면서 현역 의원들의 물갈이 폭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양반집 도련님’ ‘월급쟁이’에 비유했던 부적격 현역의원들을 가려내겠다고 공언한 만큼 어느 때보다 긴장감이 고조된 모습이다.
19대 공천심사 때와는 달리 현역의원과 원외 후보들을 예외 없이 나란히 면접장에 앉히는 등 ‘공평한 심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의원들은 먼저 면접을 본 예비후보에게 질문 내용을 일일이 확인하고 전략을 세우는 등 눈치 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면접을 보고 나온 한 현역 의원은 “이미 공관위원들이 현미경으로 (후보에 대해) 들여다본 것 같다”면서 “어느 정도 심사는 끝내놓은 것 같다”고 했다. 한 비례대표 의원은 “출마의 변을 묻고 어떤 면에서 상대 당 후보에 비해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느냐는 질문 등을 했다고 들었는데 나에게는 연고가 없는 지역에 나온 이유도 묻더라”고 했다.
공관위는 이번 공천신청자 면접에서 김무성 대표 등 당 지도부도 예외로 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이 위원장은 김 대표의 면접 참석 여부에 대해 “누구든지 (면접 심사에) 참여를 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21일 공관위 면접을 본 뒤 “(면접 불참은) 상상 못하는 일”이라며 “후보로서 기본이 안 된 것 아니냐”고 했다.
하지만 김 대표 측에선 ‘당의 수장’을 면접장에 세우려는 것 자체에 불쾌감을 드러내는 기류도 감지됐다. 여기에는 이 위원장의 우선추천 지역 확대 방침에 대한 불만이 깔려 있다. 김 대표가 자신의 정치 개혁 브랜드로 내세웠던 상향식 공천 원칙에 이 위원장이 ‘반기’를 들었다는 이유에서다.
이 위원장이 발표한 대로 전국 17개 시·도별 1∼3곳 우선추천이 이뤄질 경우 최대 20%에 달하는 물갈이가 가능하지만 반발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현장에서 뛰고 있던 원내외 후보들의 격한 반대가 예상된다. 현실적으로 이들 지역에서 모두 우선추천 규정을 적용하기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공관위는 22일까지 선거구 변동이 없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후보들에 대한 면접 심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 위원장은 “(면접 심사에서) 보물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몇 명 찾은 것 같다”며 “그런 분들이 잘되도록 머리는 조금 써볼 생각”이라고 했다.
이는 공관위의 재량권을 확대하겠다는 의미여서 ‘공천 관리’에 초점을 맞춘 김 대표와 다시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위원장은 “(한 지역구에 공천 신청자가) 한 명이라도 부적격자면 빼야 하는 것”이라며 심사 강화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與 김무성-원유철도 공천심사 예외없다?… 이한구 공관위원장 ‘현미경 심사’ 방침
입력 2016-02-21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