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예외” 양보한 EU… ‘브렉시트’ 운명의 날 6월23일

입력 2016-02-21 21:38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저지를 위한 개혁안 합의를 이끌어낸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가 20일(현지시간) 런던 총리관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영국은 EU 개혁안을 통해 이주민 복지 제한 등의 요구사항을 관철시켰다. 캐머런 총리는 브렉시트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를 오는 6월 23일 실시한다고 이날 확정 발표했다. AFP연합뉴스
유럽연합(EU) 정상들이 19일(현지시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저지를 위한 EU 개혁안을 통과시키면서 영국의 브렉시트 찬반 국민투표가 오는 6월 23일로 확정됐다. 그러나 정작 영국 내각은 각각 EU 잔류·탈퇴를 주장하며 분열하고 있는 데다 여론조사 결과도 엎치락뒤치락해 ‘국민의 선택’을 쉽사리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는 주말인 20일 긴급 내각회의를 열고 “EU를 떠나는 건 영국의 경제적 이익과 국가 안보에 위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국민 기자회견에선 “선택은 여러분 손에 달렸지만 내 권고는 명확하다”면서 “영국이 개혁된 EU 안에서 더 안전하고 강하며 부유해질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캐머런 총리는 전날 EU 정상회의에서 협상안의 최대 쟁점이었던 EU 이주민 복지혜택 중단과 이주민 자녀에 대한 양육수당 축소 등의 성과를 얻어냈다. 영국은 이주민에 대해 7년간 복지혜택을 중단하는 ‘긴급 중단(emergency brake)’을 실시할 수 있게 됐다. 또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이 내린 결정이 영국 산업의 이익을 침해할 것이 예상될 경우 이를 거부할 수 있다. 유로존의 구제금융 등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무엇보다 EU 조약들에 담긴 ‘어느 때보다 긴밀한 연합(ever-closer union)’이라는 문구가 영국에는 적용되지 않도록 개정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그러나 EU로부터 얻어낸 결과물이 충분치 않다며 EU 탈퇴를 주장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마이클 고브 법무장관, 이언 던컨 스미스 노동연금부 장관, 크리스 그레일링 하원 원내대표 등 내각의 4분의 1가량이 EU 탈퇴 캠페인에 돌입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캐머런 총리는 포클랜드 전쟁 이후 처음으로 토요일에 긴급 내각회의를 소집했으며, EU 잔류 반대자들은 이날 오후 내내 반대 캠페인 유세를 위해 전화기를 붙잡고 있었다”고 전했다.

고브 장관은 내각회의 직후 성명을 통해 “(브렉시트 캠페인에 나선 것은) 내 정치 인생에서 가장 어려운 결정”이라면서도 “만약 총리와 함께 EU 잔류를 주장한다면 그것은 조국이나 신념에 정직하지 못한 일일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더불어 “영국은 EU를 떠나 더 강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공개된 여론조사 결과 역시 투표 결과를 예측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콤레스 조사에선 잔류 49%, 탈퇴 41%로 잔류가 약간 앞섰지만 유고브 조사에선 탈퇴가 45%, 잔류가 36%로 탈퇴가 우세했다.

한편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마라톤협상 도중 지친 나머지 회의장 근처에 나가 벨기에 명물 감자튀김을 사먹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고 로이터통신과 독일 dpa통신 등이 보도했다. 메르켈 총리가 찾은 곳은 회의장에서 약 10분 거리에 있는 ‘메종 앙투안’으로 1948년 문을 연 오래된 ‘맛집’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