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는 음식점, 옷가게, 금융 쪽에서 일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옛날처럼 대부업으로 이자 받고 협박하지 않아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월 각 교정시설에 수감된 폭력조직원 307명을 인터뷰한 내용은 폭력조직 운영이 갈수록 지능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폭력조직원들은 합법적인 영역에서 기업화된 운영을 통해 수익을 낸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전히 불법 대부업과 유흥업, 도박과 관련해 지하경제를 키우는 중이었다. 매년 2000억원 이상의 성매매·도박 관련 범죄수익을 환수하고 있지만, 이는 수백조원 단위로 추정되는 전체 지하경제 규모의 0.1% 수준이라는 게 형사정책연구원의 결론이다.
이런 진단에 따라 검찰은 폭력조직원의 기업 범죄와 불법 사행행위 수사에 올해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대검찰청 강력부(부장 박민표 검사장)는 방안 모색 차원에서 지난 19∼20일 충북 진천 법무연수원에서 전국 조직폭력범죄 전담검사 워크숍을 개최했다. 각급 검찰청의 강력부장, 조직폭력 전담검사 등 36명이 참석했다.
대검에 따르면 지난해 조직폭력사범은 2502명이며, 369명이 구속됐다. 시야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이지만 ‘갈취형 운영’이 줄었을 뿐 여전히 기승을 부리며 민생을 위협한다는 얘기다. 워크숍에서는 부동산업, 연예사업, 대출 등 합법을 가장한 사업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폭력조직의 근절 방안 논의가 있었다. 손꼽히는 ‘강력통’ 검사였던 김홍일 전 고검장은 워크숍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방치하면 남미처럼 나중에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다. 조직폭력배 척결이라는 ‘조폭 전담 검사’의 사명감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조폭’ 여전히 활개
입력 2016-02-21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