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경선 참여 배제를 위한 부적격자 심사에 돌입했다. 우선추천지역 확대 및 대상자 선정 등 뇌관이 전혀 정리되지 않은 상태여서 내부는 일촉즉발의 상태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19일 “(서류심사를 통해) 범죄경력이 확실하다든가 ‘갑질’을 아주 세게 했다든가 하는 경우같이 굵직하게 (기준 미달에) 걸려드는 사람은 추릴 수 있다”고 말했다. 공관위는 20일부터는 수도권 접전지역 후보자부터 면접을 실시할 방침이다. 종로 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박진 전 의원 등도 포함된다.
비박(비박근혜)계와 친박(친박근혜)계는 당헌·당규에 언급된 우선추천지역 대상인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에 대한 해석 싸움에 돌입했다. 비박계는 여성·장애인 외에는 우선추천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공관위 회의에서 당헌·당규 개정 당시 회의록까지 꺼내들고 전략공천 불가 원칙을 설명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위원장은 “당헌의 문구가 ‘여성·장애인 등’으로 돼 있다. 등은 폼으로 붙여 놨겠느냐”며 다른 여지를 인정했다.
당 내부에선 이 위원장이 광역시·도별로 1∼3곳을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하겠다고 독단 발표한 것이 고도의 전략이었다는 평가도 나온다. 선수를 치면서 우선추천지역 규모는 논란으로 남았지만 도입 자체는 기정사실화됐기 때문이다.
당헌·당규상 최고위원회는 공관위 결정에 대한 재의 요구권을 통해 한 차례 제동을 걸 수 있는 장치가 있다. 그러나 공관위가 재차 3분의 2 이상 찬성을 통해 의결을 강행하면 도리가 없다. 최고위원 9명, 공관위원 11명 중 김 대표 측 인사가 많지 않다는 것도 비박계로선 부담이다. 비박계는 일단 의원총회 소집요구 서명을 받아놓고 대기 중이지만 이마저도 이 위원장이 뜻을 바꾸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공천배제(컷오프) 대상인 선출직공직자평가 ‘하위 20%’에 탈당자와 불출마자를 모두 포함시키기로 했다. 컷오프 명단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지만 22일 공천신청자 면담이 시작되면 자연스럽게 대상자가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김성수 대변인은 “컷오프는 20%지만 공천심사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공천 탈락자가 45%나 50%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이번엔 ‘등’자 싸움… 與 공천 갈등 점입가경
입력 2016-02-19 21:25 수정 2016-02-20 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