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종인(사진)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은) 외교·안보라인을 구축했던 전 팀을 교체하는 용단을 내리라”고 말했다. 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에 각을 세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동안 ‘신중론’을 취했던 태도에서 사뭇 달라진 모습이다.
김 대표는 19일 비상대책위원회·선거대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공단 폐쇄와 관련해 대통령은 새로운 대북(對北)관계를 수렴해야겠다고 말했었다”며 “현재까지 대통령을 보좌했던 안보라인이 그와 같은 새로운 정책을 펼칠 수 있는지 매우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공단 가동 중단 사유가) 공단에서 북한 근로자에게 지불된 임금이 북한 노동당에 유입이 됐다는 그 한 가지밖에 없다”며 “(이는) 유엔 안보리 북한 제재 결의에 위배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그 사실을 과거에는 몰랐고 최근에 확인했기 때문에 급작스럽게 공단을 폐쇄하는 결정을 내렸다고 추론할 수밖에 없다”며 “우리 안보라인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지내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도 했다. 정부의 공단 가동 중단의 배경이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고, 외교·안보라인의 무능만 드러났다는 주장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전날 선거구 획정과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여야 지도부 회동이 성과 없이 끝난 이유가 청와대 때문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법안에 대한 졸속 합의를 종용하는 대통령의 태도를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또 “대통령 요구 법안에 쟁점이 있어 쟁점법안이라고 한 것인데, 민생을 어렵게 만들어서 그런(쟁점법안이라고 한) 것이라 말할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은 민초들 삶을 예리하게 느끼는 대장금이 돼야 한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朴 대통령, 무능한 외교·안보라인 전면교체 용단 내리라” 달라진 김종인, 靑과 ‘대립각’
입력 2016-02-19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