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4월 대규모 사이버테러 가능성

입력 2016-02-19 21:33
정부가 북한의 대남 테러 가능성을 경고한 가운데 김포공항 경찰대원들이 19일 소총으로 무장한 채 공항 내부를 순찰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제1비서가 대남 테러를 직접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주요인사에 대한 테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이 오는 3∼4월엔 대규모 사이버 테러를 감행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19일 정부와 여당 고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전날 열린 ‘긴급 안보상황 점검 당정 협의회’에서 주요 인사 테러 가능성을 심도 있게 보고했다. 구체적인 명단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등이 타깃이 될 가능성에 대해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북한의 테러 위협이 커지자 주요 탈북인사 경호를 강화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북한 도발을 계기로 주요 탈북인사 경호를 강화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을 테러 가능성에 따라 등급을 나눠 관리하고 있다. 북한 외교관 출신으로 지난 1991년 망명한 고영환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의 경호 수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하고 경호 인력을 4배로 확대했다. 또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에 대한 경호 강도도 높였다. 박 대표는 “최대한 외출이나 다른 사람을 만나는 것을 자제해 달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 인터뷰에서 “2월에 미사일 발사를 한 북한이 3∼4월에 사이버 공격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 세 차례 핵실험을 한 뒤 한두 달 간격으로 사이버 공격을 한 데 따른 전망이다. 이 의원은 “5월에는 북한 제7차 당 대회도 있어 공격 가능성이 더욱 높다. 사이버 테러 다음으론 다중이용시설이나 인물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군 당국은 북한군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겨냥해 GPS(인공위성위치정보) 공격을 가해올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군 소식통은 “북한군이 키 리졸브 연합훈련 전후 GPS 교란 전파를 집중적으로 발사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이 경우 상용 GPS가 내장된 군 장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합참 관계자도 “북한은 GPS 교란 장비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전파 교란 가능거리가 100㎞ 이상으로 분석된다. 2010년 이후 세 차례 GPS 전파 교란 공격을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GPS 공격은 북한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의 사이버전지도국(121국)이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