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결코 잊혀질 수 없는 국가적 재앙이자 수치이다. 경기도 안산 단원고생 250명을 포함한 304명의 희생자는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살아 있는 우리 모두가 끊임없이 반성하고 그런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각오를 다지고 또 다져야 한다. 그러나 2년 가까이 세월이 흐른 만큼 이제 참사 뒤처리를 점차 마무리하고 새 출발을 모색해 나가야겠다. 무한정 울고 있을 순 없지 않은가.
그런 점에서 유가족들이 요구하는 ‘기억교실’ 지정은 아무래도 부자연스럽다. 자녀들이 공부하던 교실을 추모공간으로 남겨두고 싶은 부모 마음은 백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멀쩡한 교실을 10개나 비워둠으로써 올해 신입생들이 수업공간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것은 수긍하기 어렵다. 설령 교내 다른 곳에 수업공간을 확보한다 해도 추모공간을 두는 것은 자칫 청소년기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해칠 수도 있다. 기억교실 지정을 반대하는 신입생과 재학생 부모들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게 맞다. 대신 단원고 인근 부지에 ‘416민주시민교육원’이라는 추모공간을 마련한다는 경기도교육청 계획은 적절해 보인다. 유가족들의 양보가 필요한 때다.
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의 파행 운영은 안타까운 일이다. 정부·여당의 무관심에다 여당 추천 위원 5명 전원이 사의를 밝히거나 회의에 출석하지 않아 사실상 반쪽짜리 위원회다. 야당과 유족 추천 위원들의 다소 무리한 주장, 예산 과다 편성 등이 분위기를 흐린 측면이 없지 않다. 특조위 안전사회소위원회가 17∼18일 전남 여수에서 진행한 워크숍이 구설에 오른 것도 같은 맥락이다. 굳이 많은 돈 들여 먼 지방에까지 내려갈 이유가 있었느냐는 지적이다. 특조위 활동이 지금처럼 국민 지지를 얻지 못할 경우 특조위의 활동시한 연기 요구를 국회가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사설] 세월호, 결코 잊을 수 없는 모두의 아픔이지만
입력 2016-02-19 1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