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계파 갈등의 뇌관이 된 우선추천 규정은 2년 전 당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의결됐다.
당시 비공개 회의에선 권력자의 공천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격론 끝에 우선추천제를 담은 당헌·당규 개정안이 통과됐다.
상임전국위 회의록에 따르면 2014년 2월 25일 당시 평의원으로 회의에 참석한 김무성 대표는 “당의 소수권력자들이 장난을 칠 우려가 있는 부분은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정치적 소수자에 대한 기회 확대라는 취지에는 공감했지만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은 (우선추천을 해선)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당시 원내대표였던 최경환 의원은 “전략 지역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며 “과거 전략지역과 똑같은 거 아니냐는 걱정은 안 해도 될 것”이라고 했다. 또 “전략지역으로 선정해서 내리꽂는 게 아니라 공모절차를 거쳐서 신청자를 받았는데 도저히 경쟁력이 없는 경우 그냥 앉아서 질 것이냐 이런 상황에 대비해 아주 예외적으로 대비한 조항”이라고 했다.
당시 최고위원이던 유기준 의원도 “2008년 (김 대표가) 공천을 못 받은 적이 있지만 이 부분으로 전횡을 일삼으려고 (규정을) 넣은 게 아니다”라며 “오랫동안 공천을 하면서 잘못된 역사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넣은 것”이라고 했다.
이 회의에 참석했던 김 대표 측 의원은 18일 “김 대표의 이의제기로 회의가 상당히 길어졌고 갑론을박 끝에 현재의 우선추천제가 마련된 것”이라고 했다. 또 “당시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장으로 이 개정안을 마련했던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입법 취지’를 잘 알고 있으면서도 우선추천지역 확대 방침을 정한 것”이라고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김무성 “당 소수권력자 장난칠 소지” 최경환 “과거 전략지역과는 달라”
입력 2016-02-18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