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南 정부 요인 독극물 테러 우려”… 국정원, 北 동향 보고

입력 2016-02-18 22:04 수정 2016-02-19 01:21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최근 대남 테러 역량 결집을 대남·해외공작 총괄기구인 정찰총국에 지시했다고 국가정보원이 18일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이 국내 정부 인사 등에 대한 독극물 공격이나 납치, 다중이용시설을 타깃으로 한 테러를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도 했다.

국정원은 국회에서 열린 긴급 안보상황 점검 당정협의에서 이런 내용의 북한 동향을 보고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브리핑에서 “김 제1비서가 테러, 사이버 테러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역량을 결집하라고 지시해 정찰총국이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우리 당국도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테러 유형으로 “정부 인사와 반북 활동가 및 탈북자 등에 대한 독극물 공격, 종북 인사들을 사주한 테러, 중국 등지로 유인한 뒤 납치 가능성이 다분하다”고 주장했다. 또 “북한 비판 언론사에 협박 소포·편지를 발송하거나 신변 위해를 가할 수 있고, 지하철과 쇼핑몰 등 다중이용시설과 국가 기간시설도 타깃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개성공단 폐쇄 조치도 자신들이 적극적으로 추진했다고 주민들에게 선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새누리당은 국정원의 보고 내용을 근거 삼아 북한의 테러 가능성을 집중 부각했다. 청와대도 “북한의 대남 테러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성우 홍보수석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는 데 있어 설마 하는 안일함이나 정치적 이해관계가 우선돼선 결코 안 된다”며 테러방지법 국회 통과를 거듭 당부했다. 2월 임시국회에서도 법안 처리가 어려워지자 당청이 함께 여론전에 나선 것이다.

정부 여당의 일사불란한 움직임에 필요 이상으로 안보 불안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새누리당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43일,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11일, 정부의 개성공단 전면중단 결정 이후 8일이 지나서야 열린 안보 당정협의에 ‘긴급’이란 말을 붙였다.

한편 외교부는 당정협의에서 “중국도 과거보다 강력하고 실효적인 대북 제재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고 이에 협력하는 자세로 움직이고 있다”며 “이달 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을 목표로 움직이고 있다”고 보고했다. 당정은 ‘핵무장론’이 당장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더라도 그러한 주장이 나오고 있는 현실을 미국 측에 충분히 설명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