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비례대표 공천심사 주체를 일원화하기로 했다. 김종인(사진) 비대위 대표가 임명한 홍창선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장의 권한이 그만큼 막강해진 것으로, ‘김종인표’ 공천 전략에 큰 힘이 실리게 됐다.
홍 위원장은 17일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 추천은 완전히 별개로 다룰 성질이 아니다”며 “업무 연관과 효율성, 공정성 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성수 대변인도 기자간담회에서 “전략적 관점에서 개혁공천을 하기 위해 공관위 위원들이 비례대표추천위를 겸임하도록 했다”고 했다. 사실상 김 대표와 홍 위원장의 의도, 감독 하에서 일사불란하게 공천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뜻이다. 이 경우 여론 추이와 선거 전략에 따라 후보들이 지역구와 비례를 수시로 넘나들 수도 있게 된다.
하지만 두 사람에게 과도하게 공천권이 집중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당직자는 “2008년 18대 총선 공천 전권을 행사한 박재승 공심위원장이 떠오른다”며 “당시 공천에는 성공했지만 결국 81석밖에 따내지 못하면서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런 우려에 대해 홍 위원장은 “(겸임을) 하지 않으면 더 편하다”며 “계파 나눠먹기식 사고로 본다면 그럴 수(우려가 될 수) 있겠지만 나는 일을 끝내고 (당을 나가 원래 직분으로) 돌아갈 사람”이라고 반박했다. 김 대변인도 “전략공천관리위원회는 별도로 두고 있어 권한 분산은 꽤 해놓은 것”이라며 “전체적 관점에서 공천을 들여다봐야 하기 때문에 통합 관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고 했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청년과 더불어 경제 아카데미 강연’ 행사에 참석해 “여러분이 느끼는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경제민주화를 안 해서는 해결할 수 없다”고 했다. 이 자리에는 서울 노원병 예비후보인 이동학 전 청년혁신위원과 김병관 비상대책위원도 참석했다. 김 대표는 소수 경제세력이 나라를 지배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하며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을 포함해 전현직 대통령 모두가 이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했다.
문동성 기자
[관련기사 보기]
더민주 ‘백투더 2008’ 공관위원들 비례대표추천위 겸임… 김·홍 ‘파워’ 더 세진다
입력 2016-02-17 22:00 수정 2016-02-18 00:29